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어줍잖은(?)’ 충고 하지 마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어줍잖은 충고보다 위로와 격려가 더 큰 힘이 됩니다’는 글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인 적이 있다. 그러나 내용엔 공감할 만하지만 ‘어줍잖다’는 표기엔 동의할 수 없다. ‘어줍잖다’가 아니라 ‘어쭙잖다’가 바른말이기 때문이다. ‘어쭙잖다’는 비웃음을 살 만큼 언행이 분수에 넘치는 데가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아주 서투르고 어설프다 또는 시시하고 보잘것없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어줍잖다’가 아닌 ‘어쭙잖다’가 바른 표현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난도가 높은 어려운 표현이기 때문이다. 우선 ‘어쭙잖다’를 풀어 보면 ‘어쭙-+-잖다(-지 않다)’ 형태로 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쭙다’가 기본형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어줍다’가 기본형이다. 말이나 행동이 익숙하지 않아 서투르고 어색한 경우 ‘어줍다’를 쓴다. ‘어쭙다’는 없다.

보통 우리말에서 앞말이 뜻하는 상태를 부정할 때 보조용언 ‘않다’를 넣어 ‘-지 않다’고 쓰곤 한다. 그런데 보조용언의 경우 앞말과 붙여 쓸 수도, 줄여 쓸 수도 있기 때문에 ‘가당찮다’ ‘심상찮다’와 같은 줄임 표현이 종종 쓰인다. 이런 규칙 때문에 ‘어줍다’에 ‘-지 않다’를 붙인 ‘어줍잖다’가 바른 표현이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같잖다’ ‘하찮다’와 같이 줄어든 뒤 본래의 뜻이 바뀐 경우 별개의 낱말이 된다. 보통 앞말의 표기가 달라지진 않는데 ‘어쭙잖다’는 앞말의 표기까지 달라진 예외적인 경우다.

‘어줍다’와 ‘어쭙잖다’를 구분해 바르게 쓸 수 있다면 국어의 고수라 할 만하니 꼭 기억해 두자.

김현정 기자 noma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