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한민국사』"일제 잔재 청산에 중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박영석)는『대한민국사』편찬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그 구체적 작업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우선「국편」이 주도하는「대한민국사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서 집필 지침·항목·집필자 인선 등을 해나갈 예정이다.
박영석 국편위원장은「대한민국사」의 서술은 5∼10년간 장기계획 아래 추진될 것』이라고 말하고『다만「대한민국 통사」는 올해 중으로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원칙적으로는 통사가「대한민국사」의 바탕 위에서 쓰여져야 하지만 일반이 읽을 수 있는 체계적인 한국현대사 서술이 부족한 현실에서 통사의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내기로 방침을 세웠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사』는 8·15이후 제5공화국까지를 중심으로 서술된다. 그러나 8·15이후의 현대사를 쓰기 위한 배경으로 근대화와 민족 보존·독립운동 등 문제를 다루기 위해 개항부근을 시발로 하여 일제·독립운동사를 도입 부분에 포함하게 된다.
『대한민국사』는 정치사는 물론이고 사회·경제·생활·문화사 등에 걸쳐 광범위하게 서술된다.
『대한민국사』의 편찬이 국가기관인 국사편찬 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각계의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역사의 객관적 수용은 정부기관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는 민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대한민국사』는 8·15 이후의 서술에 중점이 주어지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이리화 교수(성심여대)는『연구 성과의 부족, 객관적 서술의 어려움 등 문제 때문에 개인적으론 한국 현대사가 쓰여지기에는 시기상조의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사편찬위원회 측은『국편이 정부기관이기는 하지만 편찬사업이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간을 포함, 역사를 서술하는 여러 개인 혹은 단체의 하나로 생각하면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대한민국사』는 대한민국의 민족사적 정통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부터 쓰여지게 될 것 같다.
우리나라가 근대화되면서 반봉건·반외세 투쟁이 있었다. 동학 농민운동과 개화파에 의한 근대적 민족국가 지향, 애국계몽 운동, 신민회, 3·1운동과 공화제 주창, 복군주의 극복, 상해 임정,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정통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해방 이후를 기술하는데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국편의 한 관계자는『반민족주의자에 대한 정리가 잘되지 않아 민족의 가치관이 흐려진 것은 통탄스런 일』이라고 말하고『물리적 심판이 면해졌다 하더라도 역사의 심판은 면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남북 분단의 문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박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통일할 수 있는 민족주체세력의 약함과 외세의 영향을 꼽으면서 이 문제는 학자들과 광범위한 참여 아래 정리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독재정권과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한 우리 현대사도 반성된다.
국편은「대한민국사 편찬위원회」가 구성되고 집필자가 확정되면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분야의 자료 섭렵과 함께 접촉이 가능한 많은 사람들과 활발한 접촉을 하고 세미나·학술회의를 가지면서 서술해 나가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현대사 연구는 저술 실적·연구 논문에서 다 같이 빈약하다. 70년대를 지나면서 젊은 사학도들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쪽이 넓지 않다.
『한국 현대사』(강만길저),『해방 삼년사 1·2』(송남헌저),『한국현대사』,(국사편찬위편)등이 꼽히고『해방전후사의 인식 I』(한길사간 편저),『한국 현대사의 재조명』(돌베개간편저)등이 주목을 받았다.
외국인의 저서로는『한국전쟁의 기원』(「브루스·커밍즌저),『한국 현대사』(임건출저),『한국현대사』(르랭크·볼드윈」편) 등이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의『대한민국사』편찬에 대해 학계 일부에서는『지금이라도 국사편찬위원회는 자료제공 등 기능적 역할만 맡고 별도의 민간 차원 편찬위원회가 구성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역사서술·편찬을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며 역사를「긍정과 편협한 국가의식」아래 편찬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국편은 이에 대해『진실에 의해, 또 확고한 학문적 입장에서「대한민국사」를 서술하겠으며 학자들에 의해 쓰여지는 만큼 그러한 방침은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와 함께『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확실히 하고 우리 역사의 긍정적인 부분을 널리 인식시키는 작업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그렇다고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내지 않고 미화시키는 태도는 절대 있어서는 안될 것』임을 다짐했다.<임재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