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눈앞 성과 좇는 목표관리보다 지속가능경영에 눈 돌릴 때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02호 22면

러시아 감독 알렉산더 페트로프 감독의 애니메이션 ‘노인과 바다’.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는 미국의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Earnest Hemingway, 1899~1961)가 1952년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이 작품으로 헤밍웨이는 퓰리처상(1953년)과 노벨문학상(1954년)을 수상했다. 미국 일리노이주 오크 파크에서 태어난 헤밍웨이는 고등학교 졸업 후 지방신문을 시작으로 여러 신문사를 옮겨 다니면서 기자생활을 했고 또한 소설작가로 활동했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그는 독재자 프랑코의 반대 진영에 참여해 행동파 작가로 명성을 얻기 시작한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그가 스페인 내전을 경험한 뒤 이를 소재로 해서 쓴 소설이다. 제1차 세계대전 때는 종군기자로 전선을 누볐고 후일 소설 『무기여 잘 있거라』를 발표했는데, 이 소설에서 그는 비참한 전쟁 속에서 싹트는 연인들의 사랑과 좌절을 그려내고 있다.


헤밍웨이가 53세에 쓴 『노인과 바다』는 그가 쿠바의 아바나 근교에 머물면서 바다낚시로 소일하던 시절, 실제로 배를 타고 고기잡이를 하면서 얻은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쓴 소설이다. 이 소설의 줄거리는 이렇다.


멕시코 만에서 허름하고 작은 고깃배를 갖고 생활하는 늙은 어부 산티아고가 살고 있었다. 이 노인은 최근 84일 동안 바다에 나갔지만 한 마리의 고기도 잡지 못했다. 처음 40일은 이웃에 사는 마놀린이라는 소년과 함께 나갔으나 한 마리도 잡지 못하는 날이 40일이나 계속되자 소년은 더 이상 노인을 따라 나서지 않았다. 산티아고는 이제 어부로서 퇴물이 되었다고 마을 사람들은 생각했다. 85일째 되는 날, 노인은 다시 조각배를 몰고 바다로 나갔다.


[사투 끝 잡은 청새치, 상어 떼 밥으로]그는 목 좋은 곳에 도착해 낚싯대를 바다에 내렸고 마침내 큰 청새치 한 마리를 낚는 행운을 얻는다. 그러나 그 청새치를 보트로 끌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했다. 오히려 보트보다 더 긴 몸통을 가진 그 고기는 이틀을 꼬박 보트를 먼 바다로 끌고 다녔다. 좀처럼 지치지도 않았다. 노인은 죽음의 공포 속에서 청새치를 형제라고 부르며 혼자말로 대화를 나누고 동정심을 표현하기도 했다. 사흘째 되는 날, 마침내 청새치는 지쳤는지 속도가 느려지면서 보트 주위를 맴돌기 시작했다. 사흘을 굶으며 버텨오던 노인은 남은 힘을 다해 청새치를 보트쪽으로 끌어당겨 등에 작살을 꽂는데 성공한다. 천신만고 끝에 대어를 잡게 된 산티아고는 청새치를 배에 매달고 집으로 향한다.

영화 ‘노인과 바다’. 산티아고와 마놀린.

어시장 사람들을 놀래주고, 고기는 높은 가격에 팔 수 있을 거란 기대를 하며. 그런데 노인은 또 다른 시련에 봉착한다. 청새치의 피 냄새를 맡은 상어 떼가 보트로 접근해 대어를 뜯어 먹으려고 했다. 모처럼 성취한 결과물인 청새치를 불청객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인은 안간힘을 썼지만 녹록지 않았다. 노인은 작살로 접근하는 상어 대여섯 마리를 죽이고 무리를 쫓아내는 데 일단 성공했다. 그러나 그날 밤, 산티아고가 잠들어 있는 사이 상어 떼들은 다시 찾아와 청새치를 뼈만 남기고 다 먹어 치워버렸다. 다음날, 아침 해가 뜨기 전 산티아고는 지친 몸을 이끌고 항구에 도착했다. 마놀린 소년은 며칠 동안 돌아오지 않아 죽은 줄로 알았던 노인이 무사히 돌아오자 안도의 눈물을 흘렸다. 항구의 관광객들은 노인의 보트에 매어있는 거대한 고기 뼈와 꼬리를 보고 놀랐다. “어, 저게 뭐예요?” 한 부인이 식당의 웨이터에게 물었다. “청새치입니다. 상어의 일종이죠.” “상어가 저토록 아름답고 멋진 꼬리를 가진 줄은 몰랐네.” 식당의 손님들은 중얼거렸다. 노인은 자신의 판잣집에서 쓰러지듯 잠이 들었다. 노인은 사자 꿈을 꾸고 있었다.

『노인과 바다』 1952년 초판본

[선한 싸움 벌이는 개인에 대한 찬사]1952년 헤밍웨이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유를 발표하면서 스웨덴 한림원은 “소설 『노인과 바다』는 폭력과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현실 세계에서 선한 싸움을 벌이는 모든 개인에 대한 자연스러운 존경심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라고 발표함으로써 산티아고 노인이 바다에서 큰 물고기와 그 사체를 뜯어먹는 상어 떼와 사투를 벌이는 모습을 ‘선한 싸움’으로 표현했다. 어쩌면 사람들은 세상에서 물질적, 육체적으로는 실패를 해도 정신적으로는 패배하지 않는 한 늙은 어부의 모습에서 물질만능의 세속에서 결과보다는 과정, 목표보다는 수단과 방법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얻어낸 것은 아닐까. 헤밍웨이는 세상이 정의하는 영웅에 대한 개념에 변화를 주고자 했으리라. 위대한 성취를 해야만 위대한 리더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리더의 성공은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는 것을 그는 이 소설에서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국내외 대부분의 기업에서 도입, 시행하고 있는 직원 평가방법으로서 목표관리 (Management by Objectives: MBO)라는 것이 있다. 이 평가는 6개월 또는 1년의 기간 내에 달성할 특정 목표를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협의에 의해 설정하고, 그 기간이 종료된 후에 목표를 양적, 질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결과 지향적인 평가방법이다. 매뉴얼에는 최초 목표를 설정할 때 상사와 부하직원이 대화와 협의를 통해 목표를 정한다고는 되어 있지만, 이미 부서의 목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서 내 개인이 감당해야 하는 목표 책임량을 정하는 것은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MBO 평가는 회사 전체의 목표와 부서의 목표 그리고 개인 목표를 연계시킬 수 있으며, 평가 기준이 비교적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보다 이미 할당된 미시적 목표 달성에 직원들이 매달리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불이익을 당하기 때문에 가급적 쉬운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안전운행에 익숙해져 도전적이고 성과가 불확실한 일은 맡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처럼 경영환경이 급박하게 변화하는 시대에는 MBO 평가가 오히려 조직의 변화대응을 어렵게 하고 미래 시장 개척도 실패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열린 사회에서 수익만 강조하면 실패]과거에는 기업의 가장 우선적인 목표는 이윤과 같은 재무적인 수익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수익이 여전히 중요한 기업의 목표임에는 틀림없지만 기업은 사회라는 열린 공간 속에서 많은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조직이기 때문에 수익만 강조해서는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기가 어렵다. 그래서 지속가능경영(Sustainable Management)이 점점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오늘날 경영의 새로운 목표로 등장하고 있는 지속가능경영이란 이해관계자(stakeholders)의 가치를 창출하고 현재와 미래 세대의 복지에 기여하기 위해 모든 형태의 자원(인적자원, 천연자원, 생산물, 재무적 자원)을 보전하고 확충하는 방식으로 기업, 조직 또는 국가의 운영을 선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지속가능 경영의 중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되었고, 현재의 경제위기가 지속가능경영 실천에 좋은 기회라는 인식도 많이 하고 있다. 과거에는 지속가능경영의 개념을 사회적 공헌활동과 같이 단순한 사회적 책임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요즘엔 경제·환경·사회 영역의 비재무적 이슈를 경영전략에 포함시켜 비즈니스 기회를 선점하고 재무성과에 기여하는 경영 패러다임으로 인식하고 있다. 기업의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전략적 차원의 중요한 경영 이슈로서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보는 것이다.


[어시장서 돈 못벌었어도 항해는 성공한 것]지속가능경영의 핵심적 내용은 세 가지다.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책임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목표가 균형적으로 통합될 때 기업은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기업이 주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반영하고, 환경보호에 앞장서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한다면 그 기업은 성장을 계속할 뿐 아니라 그 기업을 둘러싼 생태계도 함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산티아고 노인은 힘들게 잡은 자신의 성취물인 청새치를 상어 떼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부단히 애를 썼다. 그러나 이 싸움은 ‘승산없는 싸움’일지도 모른다고 그는 생각한 것 같다. 그는 상어 떼와의 싸움이 부질없는 일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작살을 내려놓고 잠을 청한다. 그는 청새치를 온전한 상태로 가져와 어시장에 팔아 돈을 벌지는 못했지만, 그의 항해는 실패는 아니었다. 그는 자신과 바다, 그리고 그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물고기들에게 모처럼 좋은 일을 했을 수도 있다. 그는 젊은이들도 잡기 어려운 청새치 대어를 낚았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여생을 즐겁게 살 수도 있을 것이다. 마놀린에게 앞으로 두고두고 들려 줄 무용담 소재를 얻게 된 것이다.


집단 따돌림을 받던 한 독거노인 어부가 84일간 한 마리도 고기를 잡지 못하다가 어느 날 바다에 나가 젊은 사람도 해내기 힘든 대어와의 사투에서 그것을 잡는데 성공한다는 스토리는 인간의 불굴의 도전정신을 상징한다. 인생이라는 바다위를 항해하는 기업이라는 보트에서 선장인 경영자가 어떤 경영을 해야 하는 지, 그리고 인생이라는 빈 배에 고기를 가득 채웠다고 행복하지만은 않다는 역설을 『노인과 바다』는 알려 준다. 현대기업에서 성취란 무엇이며, 경영의 성공이란 과연 무엇으로 잴 것인가.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답한다. 물질적 성공과 풍요보다는 ‘선한 싸움’을 하는, 노력하는 어부가 때로는 빈 배로 돌아올지라도 더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김성국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