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8번째 무수단 미사일 쐈지만 공중폭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이 20일 오전 7시 평안북도 구성 일대에서 무수단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한 발을 발사했지만 공중 폭발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평안북도 구성시 방현비행장(공군기지) 인근에서 발사됐고 한·미 공동평가 결과 발사에 실패한 미사일은 무수단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한·미 워싱턴 안보협 겨냥한 도발
북 고효율 신형엔진 시험 분석도

북한은 지난 15일에도 평북 방현비행장에서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수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다. 이로써 북한은 8번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 중 한 차례만 성공한 셈이 됐다. 북한은 지난 4월 15일 무수단 첫 시험 발사를 포함해 모두 8차례 시험을 했고 이 중 6차 발사(6월 22일)에서 처음 성공했다.

북한이 내륙 지역인 평안북도에서 사거리 3500㎞ 안팎의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두고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고 있는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SCM)를 겨냥한 전략적 도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15일의 발사 실패 원인을 규명하기에 5일은 짧은 시간”이라며 “SCM에 맞춰 서둘러 추가 도발에 나섰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무수단 미사일은 괌 미군기지를 사정권에 두고 있다.

북한이 신형 엔진을 시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지난 4월 북한은 미사일 지상 연소 시험을 통해 기존보다 30% 이상 성능이 좋은 고에너지 추진제를 사용한 엔진을 테스트했다”며 “이를 무수단 미사일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엔진 결함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무수단 발사 실패 사실은 미 전략사령부를 통해 먼저 공개됐다. 합참 관계자는 “한·미 정보 공조를 통해 북한의 발사 실패 사실은 인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6·25전쟁 이후 우리 해군이 처음으로 주관한 다국간 기뢰전 훈련이 경남 진해만에서 실시됐다. 훈련에는 3500t급 기뢰부설함 원산함 등 우리 해군 함정 7척과 1400t급 소해함 파이어니어함 등 미군 함정 2척 등이 참가했다.

박성훈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