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김영란법과 외눈박이 외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남정호
남정호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기사 이미지

남정호 논설위원

지난달 28일, 서울 S호텔에서는 해외 전문가들이 참석한 인문학 포럼이 열렸다. 오전 회의는 잘 진행됐지만 점심때가 되자 돌연 분위기가 머쓱해졌다. “김영란법에 해당되는 참석자들은 다른 방으로 옮겨 달라”는 안내가 흘러나온 탓이다. 외국인과 일반인들은 고급 도시락을 즐겼지만 교수·기자 등 50여 명은 음식 종류를 확 줄인 3만원 미만 뷔페로 점심을 해결해야 했다. “마음이 무척 불편했다”는 게 참석했던 한 유럽 외교관의 고백이다.

다음달 중순 독일에서 한·독 학술대회를 여는 국내 단체도 고민에 빠졌다. 만찬을 계획했지만 높은 현지 물가로 3만원 이하 식사가 여간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올바른 방향의 규제지만 김영란법 시행 후 가늠 못한 문제가 곳곳에서 속출하고 있다. 특히 김영란법 해당자와 외국인들과의 만남은 여간 거북한 게 아니다.

이를 내다본 외교부는 지난달 25일 진작 ‘김영란법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외교 행사에서는 음식물 가액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게 골자다. “액수 제한이 외교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데 여기엔 “외교관 등 공직자일 경우”라는 묘한 단서가 달려 있다. 학자·언론인·민간단체 관계자 등은 안 된다는 뜻이다. 각국 대사관 행사에 외교관만 부르라는 얘기와 다름없다. 시민사회와의 교류를 중시하는 공공외교가 각광받는 요즘이다. 그런데도 공직자와의 채널만 터주겠다니 이런 시대착오가 없다.

한 외국 외교관은 “해외 한국대사관 직원은 누구든 거리낌 없이 만나면서 국내 외교관에겐 제한을 가하는 것은 명백한 불평등”이라고 분개한다. ‘베트남전의 기획자’로 통하는 로버트 맥나마라 전 미국 국방장관이 11가지의 패전 원인을 꼽은 적이 있다. 그중 결정적인 게 “베트남에 대한 무지로 적과 친구를 잘못 판단했다”는 것이었다. 남베트남 고위층에게만 귀 기울이다 바닥 민심을 놓쳤던 거다.

미국이 베트남 민심을 제대로 알았던들 진작 전쟁을 끝냈을 게다. 요즘 북핵·위안부·사드 등 주변국도 얽힌 민감한 현안이 한둘이 아니다. 이들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놓고 정부 입장과 일반 대중의 인식 간에 큰 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도 외교관 이야기만 듣게 되면 한국 사회의 정서를 오해하고 이로 인해 엉뚱한 대책이 나올 수 있다.

공직자만 만나라는 건 ‘외눈박이 외교’를 강요하는 꼴이다. 한쪽 눈으로만 봐 편견을 갖느니 아예 못 보는 게 낫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