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합격하고도 입학 포기 학생 매년 300명 이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중앙포토]

서울대에 합격했는데도 입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매년 3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서울대 입학 포기자 가운데 자연등 이공계 단과대학 학격자가 절반을 넘어 ‘이공계 기피’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동섭 의원(국민의당)이 서울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합격생 중 입학을 포기한 학생은 346명이었다. 이중 공대가 128명으로 단과대별로는 가장 많았다. 이어 자연대(48명), 간호대(33명), 농생대(27명) 순이었다. 자연계열 학과에 합격하고도 입학을 포기한 학생들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인문계열 주요 단과대는 비교적 입학을 포기하는 학생수가 적었다. 인문대, 사회대, 경영대의 합격 포기 학생 수는 각각 8명, 5명, 2명에 불과했다.

서울대는 2012년 330명, 2013년 326명, 2014년 339명, 지난해 317명이 등록을 포기하는 등 최근 5년간 매년 3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을 포기했다. 그 가운데 공대는 2012년 122명, 2013년 135명, 2014년 136명, 지난해 136명 등으로 입학 포기생이 꾸준히 늘고 있다.

입시 전문가들은 서울대 자연계열에서 입학 포기생이 속출하는 이유로 의대·치대·한의대 쏠림 현상을 들었다.

또한 최근 심화하는 취업난 때문에 취업에 직결된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대 졸업장 대신 다른 학교의 취업 특성화 전공을 선택하는 자연계열 학생이 많다는 뜻이다.

서울대 관계자는 “공대 지원 학생이 다른 학교 의·치·한 계열도 겹쳐서 지원하다 보니 최근 합격 포기가 계속된다”며 “고등학생에게 공학이 뭔지를 알려주는 자체 캠프 등을 운영해 공학을 전공할 동기를 심어주고 있다”고 전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