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강업계,수천억원대 미 관세 폭탄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당진 현대제철 B지구 열연공장에서 직원들이 열연강판의 중간제조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중앙포토]

미국 정부가 국내산 열연강판에 최고 61%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포스코 등 국내 철강업체들의 수출 경쟁력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 상무부는 5일(현지시간)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체들이 수출하는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ㆍ상계 관세율을 최종 판정하고 공식 발표키로 했다.

국내 기업 가운데 열연강판 수출 1위인 포스코는 반덤핑 관세율 3.89%, 상계 관세율 57.04% 등 총 60.93%의 관세율 판정을 받았다.

현대제철은 반덤핑 9.49%, 상계 관세율 3.89% 등 총 13.38%의 관세율이 결정됐다.

특히 포스코의 경우 60%가 넘는 관세 폭탄 결정이 내려지면서 앞으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에서 미국 철강업체의 피해를 인정할 경우 수출 타격이 예상된다.

상계 관세율은 정부 보조금 지원에 따른 패널티 성격이어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큰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포스코가 제출한 해명 자료에 대해 미 상무부가 인정하지 않는 정도를 넘어 나쁜 의도를 감추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상무부의 최종 판정에 따라 두 업체에 대한 관세 폭탄 부과 여부의 최종 결정권은 USITC에게 넘어갔다.

USITC는 해당 업체들의 제소 시점인 2014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역산해 최근 3년간 미국 철강업체들이 반덤핑과 보조금 지원에 따른 피해를 봤는지 따져 관세 부과 여부를 판정한다.

국내 업체의 대미 열연강판 수출 규모는 연간 5~7억 달러 규모다.

곽재민 기자 jmkw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