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철'된 인천도시철도 2호선, 오류 원인은 센서가 예민한 탓?

중앙일보

입력

 
개통 첫날 6차례 멈췄던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지난 3일 또 고장났다. 정위치 정차에 실패하면서 출입문이 열리지 않은 탓인데 거듭된 사고로 졸속 개통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인천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3일 오전 5시55분쯤 인천시청역에 도착한 전동차의 출입문 6개가 열리지 않는 일이 발생했다. 원래 출입문 위치보다 65㎝ 지난 지점에 멈췄기 때문이다.

무인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운행되는 인천철 2호선은 출입문 정위치로부터 25cm 내에 정차해야만 문이 열리도록 설계됐다.

당시 열차 안에 있던 승객 30여 명은 2∼3분 정도 지나도 문이 열리지 않자 전동차 내부 비상스위치를 눌러 출입문 1개를 강제 개방했다. 열차는 20분 뒤인 오전 6시15분에서야 정상 운행됐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열차에 탑승한 안전요원이 관제실과 통화하는 사이에 승객 1명이 비상 스위치를 작동시키면서 조치에 시간이 더 걸렸다"며 "무인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관제실과 역사위치, 전동차 간 신호가 일치해야 문이 열리는데 열차가 제 위치에 서지 않으면서 문이 열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개통 첫날인 지난 1일에도 정위치 정차 실패로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 이는 시운전 당시에도 문제가 됐던 부분이다. 시운전 당시에도 몇 차례 '정위치 정차 불량'으로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한다. 2호선 건설을 담당한 인천시 도시철도건설본부는 "이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의견을 시에 전달했다. 하지만 이 문제를 바로 잡지못한 상태에서 개통된 것이다.

교통공사는 "무인시스템이라 안전에 신경을 쓰면서 오류가 있으면 전동차 운행을 정지하도록 했는데 개통 초기다 보니 센서가 예민하고 신호체계가 정교해 오류가 발생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당시 차 안에 탑승하고 있던 안전요원이 제 역할을 못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교통공사는 안전을 위해 한시적으로 10월까지 전동차마다 1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했다. 모두 82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중 20여명이 전동차 운전 경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가 잇따르자 시민단체들도 우려를 표시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2호선 개통 전 교통공사에 민관이 공동으로 안전 점검을 하자고 제안하고 시운전 결과를 공개해 달라고 요구했는데 인천시와 교통공사가 거부했다"며 "시의회·전문가·시민사회 등으로 구성된 '인천지하철2호선 민관공동안전검증위원회'를 구성해 2호선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자"고 주장했다.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도 "일부 역사의 엘리베이터 개폐시간이 10초에 불과해 휠체어가 끼일 가능성이 높고 열차 내 휠체어 석에 장애인이 붙잡을 수 있는 안전바가 설치되지 않았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가좌역도 계단도 논란이 됐다. 출입구에서 대합실까지 이어지는 계단만 124개로 아파트 7층에 해당하는 22m 높이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가좌역의 계단 폭이 좁아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수 없어서 대신 엘리베이터를 4대 설치했다"며 "안전요원들을 상대로 재교육에 나서고 장애인 시설의 경우 설치할 수 있는 모든 안전 장비를 설치한 상태인데 안전시설 보강이 필요하다면 추가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