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쟁 지양" 대야 설득-여|일단 거부… 장외 투쟁-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정당이 노태우 대표 위원의 기자 회견을 통해 정쟁 지양을 제의, 야당 설득을 위한 다각적 대화 등 후속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반면 야당측은 개헌 투쟁 강행 의사를 표명하고 나섬으로써 정국 전망이 매우 유동적이다.
민정당은 정치 일정에 관한 입장을 제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다각적인 대야 절충을 시도하는 한편 중소기업·농어촌·노사·무역 등 민생 문제에 관한 시책을 서둘러 마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은 25일로 예정된 이민우 신민당 총재의 회견을 일단 지켜본 뒤 절충 방향을 설정할 예정인데 빠르면 이달말께부터라도 대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여당은 분위기 조성을 보아 가며 오는 2월 초순 국회의장·여야 대표, 그리고 국무 총리 등이 참석하는 모임을 가질 것도 추진 중이다.
민정당은 특히 올림픽 행사 등을 위한 86, 88거국지원협의회는 야당이 설령 반대하더라도 정부 주도하에 범국민적 기구로 발족시킬 방침이다.
이에 반해 신민당과 민추협은 「88년까지의 개헌 논의 및 정쟁 유보」 제의를 일단 거부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독자적인 개헌 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이민우 총재는 23일 『정부·여당이 어떤 논리와 방법으로 설명하든 현 대통령 임기 내에 개헌을 하고 차기 대통령은 개정된 헌법에 따라 뽑아야 한다는 신민당의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또 『오는 25일의 기자 회견에서는 정부·여당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큰 정치」의 개념부터 문제삼고 야당과 대다수 국민들이 생각하는 「큰 정치」의 의미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시국 대처 방안을 놓고 여야가 대화하는 것은 반대하지 않겠으나 정부·여당이 「큰 정치」 등 일방적이고 납득할 수 없는 조건을 놓고 현상을 요구해 오면 거부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와 김대중·김영삼씨는 이에 앞서 22일 저녁 회동, 오는 2월부터 1천만 개헌 서명 운동을 본격 추진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회동이 끝난 후 김대중씨는 『평화적 정권 교체와 86, 88 국제 경기 등 국가적 대사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도 민주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 정부·여당의 개헌 논의 유보 제의를 거부하고 『정부·여당은 금년 내로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한 개헌 등 민주화 일정을 밟아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