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생활부장 꺼리는 교사 달래기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새학기가 다가오면 초·중·고교 교장들이 골머리를 앓는 문제가 있다. 학생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생활부장 교사에 대한 임명 문제다. 대다수 교사들은 이 보직을 꺼린다. 업무 자체가 예민한 데다 쏟아부어야 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아서다.

생활지도 등 업무 과중으로 기피
해외 연수 등 다양한 인센티브 검토

광주광역시교육청은 7일 “교사들의 생활부장 기피 현상을 없애기 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생활부장은 교사들 사이에서 기피 보직 1순위다. 학교폭력이나 자살 예방 등 업무 자체가 녹록지 않다. 교사가 노력을 한다고 해서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일들도 아니라는 점도 부담을 갖는 이유다.

가장 큰 스트레스는 학부모들의 민원이다. 특히 학교폭력 사건의 경우 가해학생 측 부모까지 민원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다. 자녀의 잘못을 줄이거나 관대한 처분을 받기 위한 민원이다. 이런 업무 탓에 생활부장은 부장급 교사 중 가장 연차가 낮은 교사가 맡기 일쑤다. 교장이 해당 교사들에게 “한 번만 맡아달라”고 읍소하는 경우도 잦다.

시교육청은 광주 지역 전체 학교인 316곳의 생활부장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생활부장들의 노력으로 매년 학교폭력 사건이 크게 줄어들고 있는 점도 고려했다. 지난달부터는 인센티브 방식을 정하기 위해 일선 생활부장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수업시수 경감이나 해외연수 등 다양한 의견이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등은 이미 생활부장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수업시수를 줄여주거나 업무를 덜어줄 기간제 교사 채용을 지원하는 형태다. 광주시교육청 위남환 민주인권생활교육과 장학사는 “타 시·도의 사례들과 다른 보직 교사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인센티브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 기자 kim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