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성 "남자배구 감독? 독이 든 성배 아닌 성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김남성(62·남자배구 대표팀 감독)

독이 든 성배가 아니라 성찬이다."

남자배구 대표팀 감독 김남성(62) 감독의 목소리에서는 비장함이 아닌 발랄함이 묻어났다. 베스트 전력은 아니지만 얻을 것은 더 많다는 역발상으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대표팀은 14일 2016 월드리그 출전을 위해 14일 일본 오사카로 이동했다. 이번 시즌 월드리그는 리우 올림픽 때문에 일정이 단축됐다. 한국이 속한 2그룹의 경우 지난해 조별 4개팀이 홈 앤드 어웨이로 6라운드를 치렀지만 올해는 권역별 3경기씩 3라운드만 치러 대륙간라운드 경기수(12→9)가 줄었다. 여자부 그랑프리와 비슷한 방식이다.

세계랭킹 23위인 한국은 1주차(17~19일·일본)에는 쿠바(15위)·핀란드(18위)·일본(14위), 2주차(24~26일·캐나다 사스카툰)에는 캐나다(10위)·포르투갈(30위)·중국(19위)과 맞붙는다. 마지막 3주차(7월·1~3일)는 체코(28위)·이집트(17위)·네덜란드(26위)를 서울 장충체육관으로 불러들인다. 결선에는 개최국 포르투갈(9~10일)과 상위 3개국이 나선다. 한국은 17일 오후 4시10분 쿠바와 1차전을 치른다.

이번 대회에 나서는 한국의 전력은 냉정하게 말해 2그룹 12개국 중 최하위권이다. 대표 경험이 많은 선수들이 대거 빠졌기 때문이다. 세터 이민규(OK저축은행)는 지난 시즌 입은 어깨 부상이 다 낫지 않았고, 고질적인 부상에 시달렸던 전광인(한국전력)·송명근(OK저축은행)도 빠졌다.

가장 큰 타격은 미들블로커진이다. 신영석(현대캐피탈)·박상하(우리카드)·이선규(KB손해보험) 등 대표 경험이 많은 선수들이 줄줄이 빠졌다. 문성민(현대캐피탈)이 2년만에 대표팀에 합류하고 한선수와 김학민(이상 대한항공)이 가세했지만 부족한 감을 지울 수 없다. 이번 대표팀 감독직이 '독이 든 성배'라는 평가까지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김남성 감독도 '2그룹 유지'라는 현실적인 목표를 세웠다. 9경기에서 최소한 3~4승을 거둬 살아남는 것이다. 김 감독이 가장 주시하고 있는 팀은 역시 일본과 중국이다. 일본은 이달 초 끝난 리우 올림픽 예선에서 2승5패에 머무르며 탈락했다. 안방인 도쿄에서 당한 충격의 여파가 꽤 크다. 원정이란 불리함이 있지만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당한 패배를 설욕하기 좋은 기회다.

중국전 역시 중요하다. 상대전적에서는 한국이 앞서 있지만 랭킹은 우리보다 중국이 더 높다. 아시아 정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이기지 않으면 안되는 상대다.

라이벌인 일본·중국 외에 김남성 감독이 꼭 이기고 싶은 팀은 리우 올림픽에 출전하는 이집트, 쿠바, 캐나다다. 김 감독은 "예선은 통과하지 못했지만 올림픽에 나서는 3팀 중 한 팀은 꼭 잡아서 올림픽에 나가지 못하는 아쉬움을 떨치고 싶다. 젊은 선수들이 많이 합류한 대표팀이 자신감을 얻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사카(일본)=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