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장기결석 초·중생 35명 학대 확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가 미취학·장기결석 중인 초·중학생을 전수조사한 결과 35명이 학대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17명은 소재가 파악되지 않거나 아동학대가 의심돼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5일 아동학대 관련 정부 합동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5년간 초·중학교 미취학 아동과 3년 이내 장기결석 중학생 2892명을 대상으로 지난 2월부터 이달 15일까지 조사한 결과다.

2892명 전수조사 … 부모 7명 송치
가출·학대 의심 17명은 계속 수사

이번 조사에서 328명은 소재가 불분명하거나 아동학대가 의심돼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고 생계 곤란 등 위기 가정 아동 48명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했다. 경찰에 신고한 328명 중 13명은 아동학대가 확인됐다. 대부분 방임이나 정서적 학대 혐의를 받고 있으며 이 중 7명의 부모는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됐다.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된 48명 중 22명도 정서적 학대를 받은 것으로 확인돼 상담 치료 등을 진행하고 있다.

가출로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학생 12명과 학대가 의심되는 5명에 대해서는 경찰이 수사 중이다. 소재가 확인되지 않는 학생 중 초등학생 3명은 입양되거나 수배 중인 부모와 함께 사라진 경우였다. 중학생 9명은 여러 차례 가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었다. 학대가 의심되는 5명은 모두 초등학생이며 이 중 2명은 부모가 유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1명의 부모를 긴급 체포해 조사 중이며 다른 1명의 부모를 찾고 있다. 아동들은 모두 복지센터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부총리는 “학교에 다니지 않으면서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아동도 708명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들에 대해서는 출석을 독려하고 매달 한 번씩 아동학대 여부를 점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단전·단수나 건강보험료 체납 등 19개 사회보장 정보를 분석해 사각지대에 놓인 복지 대상자 1만8318명도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들에겐 의료급여 등 기초생활보장급여와 긴급 복지 등이 지원됐다. 정부는 2014년 숨진 송파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이 같은 시스템을 마련해 올해 1월부터 3개월간 운영했다.

남윤서·황수연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