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대기업 규제 OECD 1위 … 역차별 없애야 생태계 복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최근 상호출자제한집단(대기업)으로 지정된 하림의 김홍국 회장이 정부의 대기업 규제에 쓴소리를 했다. 25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대규모기업집단 지정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좌담회 자리에서다.

‘졸지에 대기업’ 된 CEO들의 하소연
하림 김홍국 “35가지 새 규제 생겨”
셀트리온 김형기 “해외 경쟁 곤란”

이날 발제를 맡은 김홍국 회장은 “대기업에 대한 차별적 규제를 없애야 기업 생태계가 복원된다”고 강조했다. 닭고기 가공 및 유통회사로 잘 알려진 하림은 지난해 해운업체 팬오션을 인수하며 대기업집단에 진입했다. 그는 최근 본지 인터뷰에서도 “35가지의 새로운 규제가 생겨 대기업이 된 것이 달갑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김 회장은 “한국의 대기업 규제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수준”이라며 “이 때문에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회장은 포천이 선정하는 ‘세계 500대 기업’을 근거로 제시했다. 2013년 이 리스트에 중국기업은 89개, 한국기업은 14개가 포함됐다. 한국은 5년째 같은 숫자를 유지했고 중국은 해마다 평균 10개씩 새로운 기업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9070 기업생태계 조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차별 규제를 풀어 대기업과 중견 기업의 수를 늘려서, 국내 중소기업 사업체 수 비중을 90%, 중소기업 근로자 비중을 70%로 낮추는 것을 말한다. 현재 한국 중소기업의 사업체 수는 전체중 99%, 근로자 비중은 88%에 달한다.

이번에 대기업으로 지정된 바이오시밀러 업체 셀트리온 김형기 대표도 “규모가 큰 글로벌 다국적기업과 경쟁해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셀트리온이 규제까지 받으며 맞서 싸우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그는 특히 연구개발(R&D)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셀트리온은 중견기업일 당시 받았던 8%의 연구개발 세제지원 혜택이 대기업이 되면서 3% 이하로 떨어졌다.

역시 4월 상호출자제한집단에 이름을 올린 IT기업 카카오 홍은택 수석부사장은 “IT 기업의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규제 때문에 스타트업을 인수합병(M&A)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 카카오에 편입될 경우 대기업으로 분류돼 기업 활동에 제약이 생기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 소속 자산규모 85억원 미만의 소규모 자회사들은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을 수 없고, 우수 인력인 ‘병역특례요원’까지도 받을 수 없는 현실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박성민 기자 sampark2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