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산모·태아 위독할 때만 하라 | 출산때 고통은 모성애의 바탕 | 아기가 크거나 거꾸로 섰을땐 어쩔 수 없어 | 수술 늘어 전체의 25% 넘어서 | 첫아기 했으면 둘째 때도 수술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률이 외국보다 높은데다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고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우리나라는 제왕절개 수술의 천국인지 그 현황과 적용 범위에 대해 이화여대 강신명 교수(의대부속병원 산부인과장·대한산부인과학회 명예회장)로부터 알아본다.
제왕절개 수술이란 분만 진통 지속 시간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태아와 산모가 심하게 위험하거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질식 분만(자연 분만)을 할 수 없을 경우 모체의 하부 복벽을 절개해 분만시키는 방법.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율은 지역이나 병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대 부속병원의 경우 71년에 전체 분만 2천1백42건 중 제왕절개가 2백93건으로 13.7%이던 것이 72년 15.6%, 73년 16.2%, 80년 24.6%, 81년 29.8%로 늘어났으며 연세대 부속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82년 29.2%, 83년 28.8%, 84년 26.1%였다.
또 서울대병원은 81년의 23.4%에서 82년 23.8%, 83년 24.7%였고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과 강남성모병원의 경우 83년에 각각 23.4%, 30.4%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등 서울 시내 종합 병원의 제왕절개 비율은 25∼30%수준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70년에 총분만수 3백50만건의 5.5%를 차지하던 것이 73년 8.0%, 76년 12.1%, 79년 16.4%, 81년 17.9%, 83년 18.8%로 꾸준히 높아져 최근에 소비자 단체에서 제왕절개 반대운동이 일기도 했다.
강 교수는 이러한 숫자만으로는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비율이 훨씬 높은 것처럼 보이나 대부분이 병원에서 분만하는 미국의 통계와 병원분만율이 낮고 상대적으로 난산 산모가 많은 우리나라의 종합병원 통계를 그대로 비교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제왕절개율이 늘고 있는 것은 태아 태반 기능 검사 등 태아의 건강 상태 측정 기술이 과거보다 발달되어 태아의 위험 상태를 조기에 감시할 수 있는 태아 감시 장치의 개발·이용이 보편화된 데다 수술 및 마취 기술의 향상, 수혈·항생제·신생아 소생술 등의 발달로 적응 범위가 훨씬 넓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그러면 제왕절개 수술은 어떤 때 받아야 되는가.
가장 흔한 적용증은 난산이다. 즉 태아의 머리보다 엄마의 골반 크기가 작은 아두골반불균형, 태아의 위치가 좋지 않은 둔위·횡위, 쌍태아, 거대아, 산모의 연령이 높은 노산, 모체 생식기 기형 및 태아기형 등이 이에 속한다.
전체 분만의 4%정도를 차지하는 둔위(발부터 나오는 출산)의 경우 60년대에는 80%가 질식 분만을 시도했으나 최근에는 반대로 80%가 복식 분만(제왕절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밖에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는 전치 태반, 태아가 나오기 전에 태반이 자궁벽에서 떨어진 태반 조기 박리로 산전 출혈이 심할 때, 모체의 당뇨병·고혈압, 갑작스런 태아 가사 상태 등이 그 대상이 된다.
또 과거에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을 때는 그 다음 출산도 반복 제왕절개 수술을 시도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강 교수는 반복 제왕절개 수술에 대한 이론이 있기는 하나 첫수술때 생긴 자궁벽의 흉터가 다음번 진통 전이나 진통 중에 터져(자궁반흔파열) 태아는 물론 산모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으므로 반복 제왕절개술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다.
이 같은 제왕절개 수술의 증가와 함께 모성 사망과 초기 신생아 사망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둔위 질식 분만의 경우 60년대엔 태아 장애 빈도가 30%정도였으나 복식 분만으로 전환된 최근에는1∼3%정도로 크게 줄어들었으며, 초기 신생아 사망률도 6%에서 거의 0%로 떨어졌고 자궁내막염·창상감염 등의 합병증도 점차 감소되고 있다.
강 교수는 출산 때 진통의 고통이 따라야만 강한 모성애를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제왕절개 수술은 어디까지나 두 사람의 생명과 바꾸는 최선의 수단으로 이용되어야지 모아 건강과 관계없는 다른 이유로 남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