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줄" 회원국 잇단 탈퇴|「유네스코」 최대의 위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미국이 유네스코(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에서 탈퇴한지 한달여만에 영국·싱가포르에 이어 주요 기금출연국인 일본도 13일 탈퇴가능성을 공식표명함으로써 유네스코는 창립이래 최대의 위기에 봉착했다.
일본은 이날 파리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집행위원회에서 성명을 통해 『유네스코가 정치성 배제·예산동결·운영구조개편 등을 단행하지 않을 경우 일본은 유네스코와의 관계를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같은 일본측 자세에 자극받은 유네스코 일부회원국들은 이 기구의 장래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으나 회원국들의 잇따른 탈퇴로 야기될 부족예산의 충당과 자체운영의 개편방안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특히 회원국가운데 일부 선진국들은 「엠보」사무총장에 대해 86∼저년예산 3억9천1백만달러를 25% 삭감하도록 강력히 요구하고 85년예산도사업계획의 중요성에 따라 사례별로 감축 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개도국 회원국들은 모든 사업계획의 예산이 전체예산의 감소비율로 동등하게 삭감돼야한다고 맞서고 있다.
유네스코는 전체 기금출연의 25%를 담당해온 미국이 탈퇴함으로써 재정상으로 중대한 타적을 받았고 10.19%를 부담하고있는 일본마저 탈퇴할 경우 사업축소와 운영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유네스코 집행위원회는 자체운영의 혁신과 함께 경제적인 예산집행을 꾀해야한다는 원칙에는 합의했으나 회원국들의 이해가 엇갈려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소련등 일부 회원국들은 미국이 유네스코를 탈퇴했으면서 업저버 자격으로 여전히 남아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일본은 특히 유네스코가 난민·군축·인권·인구·환경등 정치성향의 사업집행을 중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네스코는 미국의 탈퇴로 금년 한해만도 4천3백만달러의 예산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파리=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