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미쉐린 별점의 저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5면

남정호
남정호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기사 이미지

남정호
논설위원

‘첨탑의 도시’로 불리는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 1000여 개의 뾰족한 첨탑과 부둣가 인어공주상 정도가 자랑인 이 도시에 지난 5년 동안 관광객이 12%나 늘었다. 오로지 4차례 세계 최고 레스토랑으로 뽑힌 북유럽 식당 ‘노마’ 덕이다. 순록고기·야생이끼 등 독특한 북유럽 식재료를 쓰는 노마는 무명의 노르딕 요리를 단숨에 세계 정상으로 끌어올렸다. 그리하여 식도락 관광객들이 이곳에 몰리고 있는 거다.

관광에서 ‘먹는 낙’의 비중은 막대하다. 국내 외국 방문객이 가장 많이 하는 게 쇼핑(72.8%)이고 다음이 식도락(48.4%)이었다. 업무(16.5%), 유적지 관광(14.2%), 자연경관 감상(13.3%)은 비할 수 없다.

그래서 세계적 레스토랑 안내서인 미쉐린(미슐랭) 가이드 서울편이 곧 나온다는 소식은 무척이나 반갑다. ‘미식가의 성서’라는 미쉐린 가이드는 지역판이 나온다는 것만으로 그곳의 식문화가 수준급이라는 의미다. 지역판이 나온 파리·뉴욕·도쿄 등은 모두 미식가들의 낙원이다.

하지만 명심할 건 이게 양날의 칼이라는 거다. 어떤 분야의 나라별 수준을 가늠할 때 쓰는 지표들이 있다. 과학의 경우 ‘노벨 물리·화학상 수상자가 몇이냐’는 식이다. 식문화에서 애용되는 지표가 바로 미쉐린 가이드다. 최대 3개까지 받는 별점 레스토랑이 몇 개인가가 그 나라 음식 수준의 바로미터로 통한다.

한데 별점 식당이 가장 많은 데가 하필 이웃 도시 도쿄다. 지난해에는 226개를 기록, 파리(94)·뉴욕(73개)보다 훨씬 많았다. 서울의 별점 식당이 도쿄보다 턱없이 적으면 한식에 대한 평가가 어찌 되겠는가.

더 큰 걱정은 ‘미쉐린 별점의 저주’다. 별점 레스토랑으로 뽑히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손님들이 몰려 서비스는 물론 음식의 질까지 추락하기 십상이다. 단골들을 위해 미쉐린 별점을 반납하는 레스토랑들이 꼬리를 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게다가 매스컴의 관심을 받게 되면 본업은 외면한 채 방송 등 너무 다른 곳에 한눈을 파는 스타 셰프들이 생길 수도 있다. 미쉐린 가이드는 한 해만 만들고 끝나는 게 아니다. 별점을 계속 못 받으면 추락하는 식당으로 낙인찍히게 된다. 미쉐린 별점이 깎일 걸 두려워해 자살하는 스타 셰프가 끊이지 않는 것도 이 탓이다. K팝에 이어 K푸드가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요즘이다. 미쉐린 별점의 저주로 막 뜨고 있는 우리의 음식문화가 뜻밖의 치명상을 입을까 두렵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