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민들 속썩이는 적조 뿌리 뽑아야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기사 이미지

공주대 생명과학과 김광훈(54·사진) 교수가 한반도 연안 곳곳에서 적조(赤潮)를 유발하고 있는 조류(藻類)의 유전자 정보를 모아 12일 은행을 개설한다. 이름은 ‘적조 유전자 온라인 은행’으로 홈페이지(http://genebank.kongju.ac.kr)를 통해 운영된다.

공주대 김광훈 교수 조류 18종 분석
‘적조 유전자 온라인 은행’오늘 개설

서·남해 어민들의 골칫거리인 바다 조류 18종의 유전자 정보가 이곳에 담겼다. 김 교수 등 연구팀이 지난 5년간 적조 발생 현장에서 바닷물을 길어 연구실에서 분석해 모은 자료다.

 김 교수는 “적조는 세계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분야 중 하나”라며 “적조 유전자 은행은 적조 연구의 기본 바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어 공부에 비유하자면 ‘영어사전’과 역할이 같다”고 설명했다.

 적조는 매년 수온이 오르는 여름철이면 찾아와 양식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의 속을 썩이지만 그 발생 원인은 미스터리다. 바닷속 조류들이 먹이 다툼을 벌이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김 교수는 “적조는 매년 수백억원의 재산 손실을 끼치고 있지만 조류 유전자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는 유전자 은행이 없어 원인 규명이 더뎠다”며 “18종의 조류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적조 원인 규명도 그만큼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자료 활용을 원하는 연구자는 홈페이지에 접속해 아이디를 발급받은 뒤 조류 유전자를 검색하거나 비교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한국은 적조 발생이 잦은 국가에 속해 관련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며 “적조 발생 원인을 밝혀 어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