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3초 안 누르면 3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안혜리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기사 이미지

안혜리 뉴디지털실장

지난 주말 무슨 대회가 있어 아이와 함께 서울 대원외고에 갔다가 화장실에서 혼자 피식 웃었다. 화장실의 변기 물 내리는 밸브 바로 위에 ‘3초 안 누르면 3수’라는 무시무시한 손 글씨 안내문이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제대로 내려 보낼 때까지 밸브를 꾸욱 누르지 않을 간 큰 학생이 과연 있을까 싶었다. 화장실을 깨끗하게 쓰기 위한 이러저러한 가이드를 적어놓은 학생회 명의의 인쇄물도 물론 있었다. 하지만 보다 효과적이었던 건 아마 이 손 글씨 안내문이 아니었을까. 수험생도 아니고 그저 하루 방문객인 나조차 힘 줘서 3초를 눌렀으니 말이다. 아무 근거 없는 말인 줄 다 알면서도 행동에 옮길 수밖에 없는, 인간 심리를 꿰뚫은 이 직관적인 문구에 감탄했다.

그리고 대외외고에 다녀온 다음 날 아침. 휴대전화로 페이스북(페북)을 열었더니 전날 그곳에서 휴대전화 카메라로 찍은 여러 장의 아이 사진이 타임라인 맨 뒤에 쭉 떴다. 평소 사적인 사진을 SNS에 올리는 걸 극도로 꺼려왔지만 순간 무의식적으로 이 사진을 클릭해 페북에 공유할 뻔했다. 페북이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방식으로 내 숨겨진 욕망을 자극한 것이다.

페북을 하면서 항상 놀란다. 친구 찾기에서부터 내 관심사 보여주기에 이르기까지 내가 원하는지조차 몰랐던, 그러나 내게 딱딱 맞는 정보를 어쩜 이리도 편리하게 대령하는지. 다 내가 알게 모르게 흘리고 다닌 정보들을 취합하고 재가공한 결과이긴 하지만 말이다. 이처럼 이용자가 쏟아내는 엄청난 양의 각종 데이터를 분석해 활용하는 페북의 알고리즘은 물론 놀랍다. 하지만 늘 나를 놀라게 하는 건 기술을 넘어선 인간에 대한 이해다. ‘삼수’라는 단어 하나로 3초의 행동을 이끌어낸 대원외고 학생들처럼 페북도 사람의 마음속을 꿰뚫어 본다.

데이터의 대홍수 시대다. 분석하는 속도가 따라가지 못할 정도지만 기술의 발전은 곧 이 간극마저 없앨 것이다. 설령 그런 시대가 된다 해도 결국 그 중심엔 인간이 있을 수밖에 없다. 숫자가 모든 걸 말하는 빅데이터 세상이라지만 이를 해석하고 실행에 옮기는 판단은 사람이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버드대 수학과 출신인 데이터 과학자 크리스티안 루더도 저서 『빅데이터, 인간을 해석하다』에서 빅데이터를 인간에 대한 이야기로 접근한다. 인간을 이해하려면 단순히 숫자를 보고 답을 찾는 게 아니라 문제가 뭔지를 아는 사람, 다시 말해 제대로 된 질문을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디지털 시대, 인간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안혜리 뉴디지털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