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 회동, 14일 한중 수석 협의

중앙일보

입력

6자회담의 한국 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미국, 중국, 일본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과 잇따라 만나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11일 외교부에 따르면 13일 서울에서 한·미·일 수석대표 협의가 열린다. 황 본부장은 미 측 대표인 성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일 측 대표인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만나 ‘강력하고 포괄적인 안보리 결의’를 신속하게 도출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미국은 안보리 상임이사국, 일본은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안보리 내에서 강력한 대북 제재를 마련해야 한다는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이 자리에서 유엔 뿐 아니라 양자 차원의 대응 방안, 즉 미국과 일본의 독자제재 계획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다. 황 본부장은 북한이 수소폭탄 실험을 감행한 6일 이미 미·일 수석대표들과 전화통화를 한 바 있다.

황 본부장은 14일엔 중국 베이징을 찾아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난다. 황 본부장은 우 대표에게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를 차단하려면 중국이 강력한 제재 동참 등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할 계획이다.

황 본부장과 우 대표는 8일에도 전화로 45분 동안 협의한 적이 있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이전과는 차별화된 강력한 대응을 하도록 한·중이 협력해야 한다”는 황 본부장에게 우 대표는 “안보리가 합당한 대응을 함에 있어 긴밀히 소통하자. 6자회담 틀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 노력을 경주하자”고만 답하는 등 온도차를 보였다.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협의도 조만간 열릴 예정이다. 양 측은 최대한 빨리 만나기 위해 일정을 조율중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6자회담 당사국들과의 연쇄협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단호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