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선명도 4배' 지상파 UHD방송 2017년 수도권서 개시

중앙일보

입력

지금의 고화질(HD) 방송보다 화질이 4배 더 선명하고,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이 2017년 2월부터 수도권에서 시작된다. 전국적으로는 2021년까지 확대된다. 현재의 HD방송은 2027년 종료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을 29일 발표했다.

방통위 등에 따르면 지상파 UHD 방송은 고정형이나 이동형 UHD TV를 갖추면 실내외 어디서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다시보기나 양방향·맞춤형 서비스, 재난정보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된다. 현재는 지상파 3사가 2012년부터 실험방송을 해 왔고, 유료방송에서도 2014년부터 일부 서비스하고 있다.

방안에 따르면 KBS·MBC·SBS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1년 전인 2017년 2월, EBS는 같은 해 9월부터 수도권에서 지상파 UHD 방송을 시작한다. 이어 광역시 권역,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 평창·강릉 등지, 나머지 시·군 지역 순으로 방송 지역을 확대해 2021년에는 도입을 완료한다.
이를 위해 민방 등 전국 31개 지상파 방송사는 2016년부터 2027년까지 12년간 UHD 시설·장비 투자에 9604억원, UHD 콘텐트 제작에 5조8298억원 등 총 6조790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방통위와 미래부는 그 투자계획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지상파 UHD 방송 허가 때 조건으로 부과한 후 매년 이행 실적을 점검해 미이행때는 시정명령 등을 내릴 방침이다. 또 제조사·방송사 등과 협의해 가정용 TV에 수신안테나를 내장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국내 UHD TV 판매량은 지난해 17만대에서 2017년 68만대, 2019년 104만대로 늘어나고, 전체 TV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각각 8.1%, 29.7%, 44.8%로 증가할 전망이다. 당초 미래부는 700㎒ 주파수를 통신과 재난망용으로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지상파 UHD 방송에도 배분하기로 하자 통신업계 등에서 지상파에 대한 특혜라며 반발해 왔다.

정아람 기자 a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