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새마을운동 접목한 복합농촌단지로 北 '민생통로' 개척하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마을운동을 접목한 복합농촌단지 조성으로 북한 주민들의 생활개선을 위한 '민생통로'를 개척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관호 한국농어촌공사 북한농업센터 부센터장은 30일 한국농어촌공사와 새마을운동중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후원한 ‘2015 남북농업협력 심포지엄’에서 “복합농촌단지는 인도적 지원을 넘어 북한주민의 생활 속에 녹아드는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다.

김 부센터장은 “새마을운동을 통해 북한 주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경제개발을 위한 남북 공동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주민들의 참여와 실천을 강조한 새마을 운동과 유사한 북한의 ‘사회적 참가에 의한 임농복합경영’ 개념을 접목한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

남북농업협력의 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정현출 농림축산식품부 과장은 “복한농촌단지는 북한지역의 2~3개 협동농장을 묶어 농업, 축산, 산림과 생활환경 및 보건의료분야를 패키지형으로 개발하는 것”이라면서 “북한농업의 자생력 확보, 남북간 교역 및 경협사업 등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남북농업협력을 통한 북한 복합농촌단지 조성방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의 참석자들은 남북농업 협력의 실천적 방안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북한은 전체 인구 대비 3분의 1이 넘는 농촌인구가 유지되고 있지만 열악한 농업생산기반으로 인해 효율은 현저히 떨어진다”면서 “농업협력은 정치적인 부담을 최소화하고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식량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라고 지적했다.

남교수는 “통일 이후 성공적인 통합을 완성하기 위해 분단시기에 선행적으로 경제적 협력과 인적교류가 필요하다”면서 “남북농업협력으로 식량생산 및 농업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면 북한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주는 동시에 남북한 인적·물적 교류의 활성화를 통해 체제통합에 적응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영교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원 chung.yeonggy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