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Big Stick'으로 중국에 실력 과시…중국 "도발" 반발

중앙일보

입력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이 5일 중국과 군사적 대치 상황을 촉발했던 남중국해에서 미 해군의 핵 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벨트함에 탑승했다. 미 군사 전문지 스타스앤드스트라이프스는 루스벨트함의 별명이 ‘실력 행사’라는 뜻을 지닌 ‘The Big Stick’이라며, 남중국해에서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에 세력을 과시했다고 분석했다.

루스벨트함은 이날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라센함을 거느리고 남중국해를 기동했다. 라센함은 지난달 27일 남중국해 난사(南沙)군도의 인공섬 주비자오(渚碧礁)에 12해리(22.2㎞) 이내에 진입해 ‘항행 자유’를 외치는 미국과 ‘영토 주권’을 고수하는 중국 간의 대립을 격화시켰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카터 장관은 이날 말레이시아 사바 기지에서 히샤무딘 후세인 말레이시아 국방장관과 함께 수직 이착륙 수송기 V-22 오스프리를 타고 30여분를 날아 루스벨트함에 탔다. 카터 장관은 함상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남중국해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등 모든 당사국들과 상호 이해를 추구한다”면서 “그러나 루스벨트함의 모토 ‘부드럽게 말하되 실력 행사를 하겠다고 위협하라(Speak softly and carry a big stick)’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랫동안 안정을 구가했던 이 지역에서 이를 해치는 세력이 있다면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며 “미국이 지속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 한 안정을 해치는 일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런 발언은 남중국해 인공섬을 놓고 벌어진 미·중 갈등에 대해 미 국방 수장이 ‘전방 지휘’를 한 성격이 강하다. 카터 장관은 항모에서 전투기 운용 태세를 점검하고 항모 기동 태세를 보고 받았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미 국방장관들이 방한했을 때 최전방을 찾아 한·미 연합군의 방어 태세를 점검하며 북한에 대해 도발하지 말라고 무언의 경고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카터 장관이 탑승했던 루스벨트함은 한달 전인 10월 초까지 페르시아만에 배치돼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전을 수행하고 있다가 정비ㆍ보급이 필요해 싱가포르로 이동했다. 루스벨트함이 남중국해에서 기동하며 중국을 겨냥한 압박 수단이 됐다. 5000여명의 해·공군 병력이 탑승하는 루스벨트함 항모 전단은 순양함 1척과 구축함 3척으로 구성되며 65대 안팎의 전투기를 거느린다.

루스벨트함은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난사군도에서 남쪽으로 250㎞ 정도 떨어진 공해상을 운항했으나 중국은 이를 도발로 규정하고 거칠게 반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항행의 자유를 구실로 남중국해를 군사화하고 다른 국가의 주권과 안보 이익을 위협하는 어떤 도발 행위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며 “미국은 관련 군사 행위에 대한 의도를 더욱 당당하고 투명하게 밝히기를 바란다”고 비난했다.

베이징·워싱턴=최형규·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