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메르스 경제 충격 막을 선제적 대응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의 경제 파장이 심상찮다. 관광객이 줄고 가계는 외출을 삼가고 있다. 메르스 공포가 빨리 진정되지 않으면 소비 위축 쇼크로 이어져 내수 침체가 깊어질 수 있다. 벌써 일각에선 세월호 못지않은 소비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염병은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때 직전 분기까지 두 자릿수이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7.9%로 급락했다. 홍콩도 성장률이 4분의 1 토막 났다. 메르스 충격이 가시화하기 전에 경제팀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된다.

 가뜩이나 우리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불황의 골이 깊고 크다는 지표들이 속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당초 올 상반기 3.6%쯤 줄 것으로 예상했던 수출은 지난달 두 자릿수가 급락하면서 5월까지 지난해보다 5.6%나 줄었다. 게다가 엔저 충격은 수출은 물론 내수까지 흔들고 있다. 엔저의 충격은 커지면 커졌지 앞으로도 나아질 기미가 없다.

 지난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1%대로 끌어내리고 대출 규제를 푸는 고강도 처방을 했다. 기금 등을 총동원해 돈을 풀기도 했다. 세월호 사태까지 겹치면서 경기가 깊이 가라앉자 안간힘을 써가며 경제 회생의 불씨를 지펴온 것이다. 그 불씨마저 지금 큰 바람 앞에 속절없이 꺼지기 직전이다.

 오는 11일 열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하부터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9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정된 만큼 이번이 아니면 사실상 기회가 없다. 가계부채 문제가 걸리기는 하나 아직은 우리 경제가 ‘감내 가능한 비용’이다. 경제 엔진을 꺼뜨리지 않는 게 더 시급하다.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세수 부족, 재정 적자 우려로 망설이기만 해선 안 된다. 엔저 쇼크만으로도 우리 경제는 지금 치명상을 입고 있다. 정부와 한은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일단 경제부터 살려놓고 봐야 할 때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 난데없이 닥친 재앙의 불청객 메르스는 두 가지 문제 모두에 답을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