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일 악감정, 한국 “과거사 때문” 일본 “한국 국민성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5년 전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사 문제와 상대국 정치지도자들의 발언 등이 한·일 국민에게 부정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중앙일보와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아 양국 국민을 상대로 공동 실시한 전화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다.

 현재의 한·일 관계에 대해 긍정적(‘매우 좋다’ 또는 ‘좋은 편이다’)이라고 본 한국인은 3.7%에 그쳤다. 중앙일보와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10년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을 맞아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 때 긍정적으로 본 답변(24.2%)을 크게 밑돌았다. 반면 한·일 관계를 부정적으로 보는 한국인은 78.5%로 5년 전(22.8%)에 비해 세 배 이상으로 치솟았다. 일본에서도 한·일 관계에 대해 부정적(54.6%)이라는 의견이 긍정적(5%) 응답을 압도했다. 5년 전만 해도 일본인의 한·일 관계에 대한 부정적 의견은 12%로 긍정적(30%)보다 적었다. 한·일 관계가 악화된 책임에 대해 한국인은 일본에 있다(62.7%)고 본 반면 일본인은 한·일 양측에 있다(67.2%)는 답변이 많았다.

 나빠진 한·일 관계로 인해 상대국에 대한 감정도 악화됐다. 일본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지닌 한국인은 58%로 긍정적 감정(14.5%)을 압도했다. 일본인도 한국에 대해 부정적 감정(28.3%)이 긍정적 감정(16.6%)을 웃돌았다. 한·일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위해 한국인은 위안부 등 역사인식 문제와 독도 등 영토 문제에서 진전이 있어야 한다고 봤으나 일본인은 상호 문화의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해 인식 차이가 컸다.

크게 늘어난 상호 부정적 인식
일본, 계속되는 사과 요구에 불만 … “한국 정치지도자 발언 원인” 30%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의 공동 여론조사 결과 한국과 일본의 상대국에 대한 악감정이 크게 늘어난 것은 예상됐던 일이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 한·일 간 차이가 극명하다.

 상대국에 악감정을 갖는 이유에 대해 한국은 ‘과거사 문제’(54.8%), ‘독도 문제’(20.1%), ‘정치지도자 발언’(16.6%), ‘일본인의 국민성’(7.3%) 순으로 답했다. 반면 일본은 ‘한국인의 국민성’(35.2%), ‘박근혜 대통령 등 정치지도자 발언’(29.5%), ‘역사 문제(22.1%)’, ‘독도 문제’(9.9%)로 거의 역순이었다. 일부 일본인은 한국이 하나를 들어주면 다른 걸 요구하는 등 계속해서 요구 조건을 바꿔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움직이는 골대론’을 주장한다. 이들은 일본이 태평양전쟁 당시 식민 지배에 대해 공식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했음에도 한국이 계속해서 사과를 요구하는 걸 예로 든다.

 일본에선 터무니없는 내용의 혐한 서적과 악의적 주간지 기사로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진 데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일왕 사과 발언(2012년 8월) 이후 대립이 장기화되면서 한국에 대한 이질감이 급속히 확산됐다. 일본 언론들이 한국에 안 좋은 기사를 의도적으로 부풀리는 경향이 최근 1~2년 이어지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역으로 이는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와 과거사 등 문제로 강경하게 맞서기만 했지 그동안 ‘일본 국민’을 상대로 한 ‘공공외교’는 사실상 방치한 결과이기도 하다. 한국 언론의 일본에 대한 비난 일변도 보도가 한국 내 여론을 ‘과거 지향’으로 굳힌 측면도 있다.

 한국에서 일본에 호감(‘매우 좋다’와 ‘좋다’의 합계)을 갖는 응답은 5년 전에 비해 소폭(18.7%→14.5%) 감소했다. 일본에선 절반으로 줄었다(33%→16.6%). 나쁜 감정(‘싫다’ ‘매우 싫다’ 합계)을 내비친 이는 한국(36.2%→58%)과 일본(10%→28.3%) 모두 크게 늘었다. 상승 비율은 일본이 앞서지만 절대적 수치에선 한국이 일본을 싫어하는 응답이 일본이 한국을 싫어하는 응답보다 훨씬 높다. 일본 국민의 경우 ‘어느 쪽도 아니다’(54%)는 일본인 특유의 신중한 답변이 대세를 이뤘기 때문이다.

 의외의 결과도 나왔다. 일본의 20대의 경우 호감이 36.8%인 반면 악감정은 6.1%에 불과했다. ‘네토우요(ネトウヨ·인터넷상의 우익을 뜻하는 일본어)’의 중심세력이 20대인 만큼 부정적 답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결과는 달랐다. K팝 등 한국 대중문화 파워가 일본 젊은이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위안부 문제 대응’을 놓고는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렸다. 일본 국민은 ‘충분히 대응했다’(21.4%), ‘일정 부분 대응했다’(42.6%)고 여기는 반면 한국 국민은 두 응답을 합해도 9.7%에 불과했다. 한국은 ‘불충분했다’(45.7%), ‘ 상처를 키웠다’(43.7%)가 압도적이었다. 이 같은 인식 차이가 한·일 정부 간 위안부 문제 협의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지, 반대로 양국 정부 간 버티기가 여론을 악화시키고 있는지는 불투명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한 접근이 없는 한 양국 국민 간 갈등의 불씨는 재연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 준다.

정재홍 기자 hongj@joongang.co.kr 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