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새정치민주연합,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혁신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위원장을 맡았다. 4·29 재·보선 참패 이후 반대파가 문재인 대표의 사퇴를 요구해 당은 극심한 내분을 겪고 있다. 혁신위는 문 대표가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서 내놓은 카드다.

 새정치연합은 2012년 이래 총선·대선·지방선거와 재·보선에서 잇따라 패했다. 여기에 심각한 계파 갈등까지 더해져 당은 좌표를 잃고 있다. 제1 야당의 이런 혼란은 국정에까지 주름살을 끼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새정치연합의 혁신 또는 ‘재건축’은 시대적 요구요 국가적 과제라 할 수 있다.

 혁신이 성공하려면 혁신의 순수성과 혁신 주체의 개혁성이 필수다. 2011년 손학규 대표 체제 이래 당의 혁신위는 이번이 다섯 번째다. 그동안 천정배 의원, 안경환 교수, 정해구 교수, 원혜영 의원 등이 혁신위를 이끌었다. 2012년 대선 때는 문재인·안철수의 ‘새 정치 공동선언’도 있었다. 지난해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명을 바꿀 때도 당은 요란한 혁신을 제시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특권 내려놓기, 윤리 감독 강화, 공천 개혁 같은 주요 과제는 별로 실천되지 않았다. 대신 ‘막말의 특권’과 공천 다툼은 여전했다.

 혁신위는 유리한 지역에 안주하려는 기득권 세력, 패권주의적 행태를 보이는 주류 세력, 과거 불법 정치자금과 개인 비리 등으로 사법 처리됐던 인사 등에 대해 과감한 제도적 수술을 단행해야 한다. 그러려면 혁신위원장은 당원뿐 아니라 다수 국민의 신망과 지지를 받는 인물이어야 할 것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때 교육감 임기를 중도에 포기하고 경기도지사 후보 당내 경선에 나섰다가 패했다. 그는 무상버스 같은 엉뚱한 포퓰리즘 공약으로 당내에서도 반발을 샀다. 그가 어떠한 도덕적 기반을 가지고 혁신을 밀고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새누리당 혁신위는 돈 안 받는 출판기념회, 국회의원의 무노동·무임금과 겸직 금지 등에서 혁신안을 마련해 법률로 발의했다. 정치 혁신은 원래 야당이 주도해야 하는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새정치연합은 각별한 각오로 혁신 경쟁을 벌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