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민당 9월 총재 선거 '국민참여' 경선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국민참여형 예비선거를 도입하느냐, 아니면 현행대로 의원과 당원들의 투표로 결정하느냐. 일본 집권당인 자민당이 9월 있을 총재선거를 앞두고 미묘한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핵심은 국민참여형 예비선거 도입 여부다.

자민당 다케베 쓰토무(武部勤) 간사장은 "18일 전당대회에서 발표하는 '운동방침'에 '국민 참여의식을 실감할 수 있도록 열린 형태로 활발한 정책 논쟁을 전개한다'는 문구를 넣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발언 내용은 복잡하나 총재선거에 국민 참여의 길을 터놓겠다는 얘기다. 그는 지난해 12월 말 TV에 출연해 "당 규약을 따로 개정하지 않고도 예비선거를 치를 수 있다"고 말했다.

자민당의 현행 총재선거는 지방당원(300표)과 중.참의원 국회의원(408표)이 최다 득표자를 뽑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지방당원들이 개별적으로 투표한 뒤 이를 현역 국회의원들의 투표일에 함께 개표한다. 여기에다 전국 11개 권역에서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국민 참여 열기를 고조시켜 내년 참의원 선거를 승리로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속내는 더 복잡하다. 일각에선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가 자신의 대중적 지지도를 활용해 아베 신조(安倍晉三) 관방장관을 차기 총리로 만들려는 작전"이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자민당 최대 파벌인 모리(森)파의 보스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는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관방장관을 선호하고 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