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시장의 불확실성 피하는 수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김장 김치를 담그기 위한 배추는 대략 8월쯤에 씨앗을 뿌려 11월쯤에 수확한다. 너무 풍작이면 농민들이 헐값에 배추를 팔아야 하고 흉작이면 소비자들은 비싼 '금(金)치'를 먹어야 한다. 이럴 때 농민들은 자기의 생산원가와 기대되는 수익 등을 포함하는 가격을 제시하고 도매상은 그들의 기대 이익을 반영하는 가격을 제시하여 절충되는 선에서 배추 값을 정할 수 있다. 8월에 농민과 도매상이 만나 11월에 약정한 금액으로 배추를 사겠다는 약속을 하게 되면 11월에 시장에서 팔리는 배추 값과는 관계 없이 약속한 농민은 계약된 금액을 받고 도매상은 배추를 가져가면 된다.

농민과 도매상은 계약 하기 전에 8월과 11월 사이에 발생 할 수 있는 기후 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태풍이 많아 강수량이 많아지면 배추작황이 좋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농민은 배추를 비싸게 팔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가격을 비싸게 부르든지 아니면 재배가 끝날 무렵에 흥정을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는 도매상도 마찬가지다. 풍작이 들어 배추 값이 싸진다면 시장에서 사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문제는 배추 가격이 예상하는 방향으로 흐르지 않을 경우다. 예상하지 못한 경우가 일어나 손해가 발생한다면 준비하고 있지 않았던 상황에서 당하는 일격이기 때문에 체감 손실은 더 크게 느껴지게 된다. 이처럼 예상하지 못하는 경우, 즉 불확실성을 회피하고자 하는 것이 파생상품이 갖는 진정한 의미다. 배추이야기를 금융시장에 옮겨 놓은 것이 금융 파생 상품이다.

금융 파생 상품의 적정한 가격을 산출하는 것은 농민이나 도매상들이 적정한 배추 가격을 산출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배추 가격을 정하기 위해 날씨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고 수요 예측도 필요하다. 적정한 배추 가격을 구하기 위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듯이 금융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자들도 기초 자산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을 고려하여 가격을 산출하게 된다. 거시경제 변수, 시장의 이슈, 거래제도 등 모든 수집 가능한 정보들을 고려하여 가격을 산출하게 된다.

적정한 가격을 산출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해 일반 투자자들이 접근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기관 투자가들의 경우 가능한 한 자기들만의 가격으로 전략을 세우고 시장에 접근하게 된다. 이에 반해 개인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시장정보에 어둡기 때문에 기관투자가들에 비해 적절한 가격을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 방향성에만 의존하는 단순한 매매에 국한되기 쉽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들이 직접 파생상품을 매매하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다.

(조인스닷컴 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