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 오늘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왕이 중국 외교부장(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20일 밤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뉴시스]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3년 만에 21일 오후 서울에서 열린다. 3국 외교장관 회의는 매년 열리다가 2012년 4월 이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중국과 일본이 갈등을 빚으면서 중단됐다. 올해 3국 외교장관 회의에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참석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회의 참석차 방한하는 왕 부장과 기시다 외상을 윤 장관과 함께 청와대에서 만나는 일정도 준비했다.

 일단 회의에 오른 의제는 3국 정상회담 개최, 3국 간 협력 사업 등이다. 가장 큰 관심사는 3국 정상회담이 성사될지다.

 윤 장관은 지난 17일 언론간담회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은 3국 정상회담의 하부구조”라며 “정상회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교장관 회의가 곧바로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한·일은 긍정적이지만 중국 측이 일본의 역사 인식 등을 이유로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박 대통령이 ‘아세안+3(한·중·일)’ 회의에서 3국 정상회담을 제의했을 때도 중국은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화여대 박인휘(국제관계학) 교수는 “한·중·일이 협력해야 동북아 질서가 유지된다는 공감대가 있어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더라도 3국 협력의 동력은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3국 외교장관 회담이 열리기 전에는 한·중, 한·일 등 양자회담이 열린다. 특히 한·중 장관 회의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지 관심이다. 중국 외교 책임자인 왕 부장이 사드 등에 대한 발언 수위를 높일 경우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류젠차오(劉建超) 외교 부장조리의 발언 후 한국 국방부가 ‘주변국이 국방안보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면 안 된다’고 비판한 뒤라 중국 측이 언급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외교부는 3국 외교장관 회의에 대해 “3국 협력 기반을 복원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2012년 12월 아베(安倍) 내각 출범 때부터 외무상을 맡고 있는 기시다는 외무상이 된 후 이번이 첫 방한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