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외부인사 수혈 '구인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외부인사 수혈에 나선 여야가'구인난'을 호소하고 있다. 여야 모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지지율'이다. 하지만 그 속사정은 정반대다. 열린우리당은 바닥까지 간 지지율이 외부인사 영입을 어렵게 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치솟는 지지율로 내부경쟁이 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신선한 인물로 승부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모으고 최근'인재발굴기획단'(단장 김혁규)을 발족, 선거구별 '인재은행제'등을 도입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추락한 당 지지율 탓에 중량감있는 외부인사가 섣불리 당 간판으로 나서려하지 않는다는데 고민이 있다. 이때문에 당내에서는 서울.경기 등 광역단체 선거를 비롯해 중소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경쟁력있는 후보를 내세우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이런 위기감 속에서 여당은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가운데 한자리는 반드시 차지해야 한다는 판단아래'필승카드'를 찾아나서고 있다.

서울시장 후보의 경우 열린우리당의 외부인사 영입 최우선 순위는 강금실 전 법무장관. 각종 여론조사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후보로 꼽히고 있지만 문제는 본인의 출마의사가 확실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 이때문에 당안팎에서는 이해찬 국무총리나 추미애 전 민주당 의원도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경기도 지사에는 김진표 부총리, 진대제 정통부 장관 등 스타급 각료출신들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인재영입위원회가 일찌감치 외부인사 물색작업에 나선 상태다. 최근 당 지지율도 40%를 넘어서면서 영입 환경에서는 여당보다 훨씬 유리한 입장에 있다. 하지만 높은 지지율로 당내 경쟁이 격화되면서 외부인사 영입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수도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치단체장 후보군이 이미 형성돼 있어 당에 연고가 없는 외부 인사로선 선뜻 나서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김형오 인재영입위원장이 다양한 배경의 외부인사 영입을 통한 체질개선론을 제기했다가 공개적인 반발에 직면하기도 했다. 또 오겠다는 사람은 많지만 만족할만한 사람은 많지 않다는 점도 한나라당의 고민이다.

당내 민주주의를 위해 도입한 경선시스템도 걸림돌이다. 종전에는 당 지도부가 결심하면 공천을 전제로 중량감 있는 외부인사를 영입할 수 있었지만, 경선시스템의 정착으로 이마저도 어렵게 된 것. 여당과 달리 외부인사가 낙마할 경우에 대한 마땅한 반대급부도 없다보니 외부인사 영입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김형오 위원장은"우리는 (반대급부로) 줄 것도 없고, 정보도 없고, 권력도 없고, 누를 수 있는 파워도 없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디지털뉴스센터.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