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소재 그래핀,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해… "신기한걸?"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그래핀’. [사진 중앙포토]

최근 미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

흑연은 연필심에 사용되어 우리에게 친숙하며, 탄소들이 벌집 모양의 육각형 그물처럼 배열된 평면들이 층으로 쌓여 있는 구조이다. 그래핀(Graphene)은 이 흑연의 한 층을 가리킨다.

최근 미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 이동성이 빠르다.

그래핀은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도가 강하며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성이 높다. 또, 빛을 대부분 통과시킬 정도로 투명하며 유연한 성질이 있다.

그래핀은 손목에 차는 컴퓨터, 전자 종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컴퓨터 등에 적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그래핀은 미래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004년 영국의 가임(Andre Geim)과 노보셀로프(Konstantin Novoselov)연구팀이 상온에서 투명테이프를 이용, 흑연에서 그래핀을 떼어내는데 성공하여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래핀의 뜻을 접한 네티즌들은 “그래핀, 이렇게 유연한 거였어?” “그래핀, 신기하다” “그래핀, 미래 신소재?” “그래핀, 노벨 물리학상까지?” “그래핀, 다이아몬드보다 더 강하다니” “그래핀, 다이아몬드보다 더 강하다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그래핀’.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