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화재 무방비 건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장마철에 화재얘기는 한가롭게 들릴지 모른다. 그러나 비 올때 가뭄걱정올 하고 가물때 홍수대비하는것이 재난읕 방지하는 지름길임은 인류의 오랜 경험이다.
내무부가 소방및 방화시설이 미비한 전국의 대형빌딩에대해 시한부 보완명령을 내린것은 불로 인한 참화를 예방하기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화재발생 건수에서는 선진국보다 훨씬 적은 우리나라에서 화재 20건에 1명씩 숨지는 꼴로 사망률이 높은것은 평소 우리의 불조심이 어느수준인가를 한마디로 말해주고있다.
최근 내무부 조사에 따르면 서울을 비롯한 6대도시의 11층이상 호텔과 빌딩 그리고 시장·백화점·병원등 3천5백19개소 가운데 37%인 1천3백18개소가 대형화재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것이다.
뿐더러 서울시만해서 화재취약지역2만2천9백여개소 가운데 소방시설이 제대로 된곳은 53%에 불과하고 나머지 47%인 1만1천여개소가 기준에 미달했거나 불량한 상태라는 조사결과가 얼마전 나온바 있다.
인구밀집 지역의 방화시설이 제대로 안되어 있는 지금 상태로라면 조그마한 화재에도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벌어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특히 11층이상의 대형건물의 37%가 「화재무방비」 라는 사실은 굳이 대연각호텔 화재사건을 떠올리지 않는다해도 전율을 느끼게한다.
70년대의 경우 유류나 전기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36%에 이르렀지만 앞으로 가스가 더 보급되고 유류사용량이 늘어나면 대형화재도 늘게 마련이다.
빌딩의 대형화에 따라 몇천명이 함께 일하는 건물만해도 손가락으로는 꼽을수 없을만큼 많이 들어섰다. 그런 건물에서 큰불이 날 경우 피해정도가 얼마나 될지는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대부분의 복합건물은 어지럽게 늘어진 전기·가스·유류배관 때문에 각별히 경계를 해야한다. 이런 건물의 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다른 천재지변과는 달리 화재는 불가항력적인것은 아니다. 요즘의 화재는 재산과 인명 피해가 대형화하는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화재사고를 예방하는 길은 관계당국이 법에따른 단속을 철저히 하는길뿐이다.
고층건물일수록 소방법이나 관계법규에 맞게 방화시설을 갖추었는지 철저한 점검을 해야한다. 큼직한 사고가 난뒤 화인을 조사하다보면 사전점검이 부실했던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건축허가만 받아내려는 눈가림 공사의 가장큰 피해자가 바로 건물주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불로인해 재가 되는 재산은 개인의 재산이자 국가의 재산이다. 불은 땀흘려 이룬 우리의 노력을 순식간에 도로로 만든다.
화재무방비지대를 철저히 단속한다는 방침은 여러번 나왔으나 이방침이 제대로 이행되었다고 보긴 어렵다. 그러나 이번만은 다른것같이 보인다.
8월말까지 보완하지 않을 경우 입건과 함께 무기한 사용금지라는 강경방침을 세워놓고있다.
예의 국제행사 때문인것같다. 동기야 무엇이건 따질것이 없다. 소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한것이 문제였다.
화재의 1백%예방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이룩하기위해 할수있는 일은 다해야한다.
이번만은 정부의 보완명령이 철저히 이행되어 적어도 큰건물에서 큰불이 나 엄청난 인명및 재산피해률 내는 참사는 미리 막게되기률 바라마지 않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