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다음에는 북한 체제를 지지할 참인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그들은 학문의 자유를 앞세우고, 비난이 쏟아지면 '자유민주주의의 포용성'을 외치며 방어막을 둘러친다. 물론 학문의 세계에서는 맥아더와 6.25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있을 수 있다. 문제는 그들의 말과 글이 학문의 영역을 벗어난 게 아니냐 하는 점이다. 맥아더를 '분단을 주도한 원흉'이라고 하고, 김일성을 '한반도의 위대한 근대적 지도자'라고 하면서 학문적 자유를 외치는 건 뻔뻔스럽다. '원흉'이니 '위대하다'느니, "세계적인 위대한 근대적 지도자의 반열에 아주 우뚝 서 있다"느니 하는 말이 어떻게 학술적 표현일 수 있는가. 대학 교수의 주장이라고 해서 모두 학술적인 것은 아니다.

그들의 주장이 연계성을 가진 게 아닌지 점검해 볼 필요도 있다. 공교롭게도 우리 사회의 이런 움직임은 북한이 올해를 '주한미군 철수 원년'으로 선포한 뒤에 나왔기 때문이다. 따로 떼어서 본다면 사소할 수도 있지만 연결돼 있다면 심각한 사안이다. 그런데도 현 정권의 핵심세력은 제대로 점검하고 살펴볼 생각은 하지 않고 '표현의 자유''양심의 자유'만 읊어대고 있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 혹시 진보와 친북을 동의어로 착각하고 있는 건 아닌가.

북한 주민을 돕고 북한과의 평화 공존을 모색하는 것과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포기하는 것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학문이나 시민운동을 빙자한 친북활동은 결코 용인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