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착한 가격' 공공택지 아파트, 올해 6만가구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분양가 상한제 계속 적용으로 분양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올해 공공택지 아파트 청약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경기도 하남시 미사지구(위)와 화성시 동탄2신도시. [사진 LH]

올해 분양시장의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지는 지역이 공공택지다. 땅값과 건축비로만 가격을 책정하는 분양가 상한제가 유지돼 4월께 상한제가 완화되는 민간택지(공공택지 이외 지역)보다 분양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공공택지는 신도시·택지지구·보금자리지구 같은 꼬리표를 달고 있는 곳이다. 대규모 주택공급을 위해 정부 주도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방공사가 개발하는 계획도시다.

 11일 업계와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공공택지에서 분양될 아파트가 민간·공공물량을 합쳐 6만 여가구로 예상된다. 예년에 비해 많지 않다. 공공택지 추가 지정이 중단됐고 개발이 진행 중인 지구의 분양도 늦춰지고 있어서다. 처음 분양을 시작하는 지구가 많지 않고 사업이 한창인 택지들의 막바지 물량이 대부분이다.

 한국주택협회 김동수 진흥실장은 “올해 공공택지 주택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데다 정부의 대규모 택지개발 중단으로 희소가치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물량이 넘치지 않아도 ‘알짜’는 넉넉하다. 앞선 분양에서 인기를 끈 지역이 많다. 서울·수도권에선 ‘강남권 신도시’로 불리는 위례신도시,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경기도 수원·용인시의 광교신도시,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경기도 하남시 미사보금자리지구가 대표적이다. 이들 지구에서 분양된 아파트들은 최고 수백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청약경쟁이 치열하고 아파트분양권에 최고 억대의 웃돈(프리미엄)이 붙기까지 했다.

 지난해 청약 돌풍을 일으킨 위례에선 올해 물량이 지난해에서 이월된 두 개 단지 700가구 정도다. 서울 강서구의 마곡지구에서 유일한 민영주택인 현대엔지니어링의 힐스테이트 마스터와 SH공사 단지 2000여 가구가 나온다.

 동탄2에선 큰 장이 선다. 이달 호반건설의 1600여 가구짜리 호반베르디움 3차를 시작으로 1만 가구 가량이 분양 릴레이를 이어간다. 동탄2는 올해 입주를 시작하고 분양은 중반전을 넘고 있다. 입주 시작 3년이 지난 광교신도시에서 막판 물량으로 호수공원 주변 상업지역에서 주상복합아파트가 나온다.

 지난해 11월 전용 85㎡ 초과의 중대형 아파트가 1순위 최고 93대 1의 청약경쟁률을 보인 경기도 하남시 미사지구에서 GS건설과 대원이 중대형을 내놓는다. GS건설 조상대 분양소장은 “조성 마무리 단계에 분양되는 아파트는 웃돈 수준을 확인해 청약할 수 있고 기반시설이 갖춰진 상태에서 입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지방에선 세종시와 혁신도시(공공기관 이전 지역), 경북도청이전 신도시 등이 분양 대기 중이다.

 서울·수도권에서 올해 분양 첫 선을 보이는 공공택지는 모두 보금자리지구인 서울 상계지구(SH공사 시행)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진건지구(경기도시공사) 정도에 불과하다. 상계지구는 총 460가구의 미니 공공택지다. 다산진건지구는 남양주 진건읍 등 일대 270만㎡ 규모(1만8000여가구)이고 올해 분양예정물량은 5000가구 정도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기준으로 위례 1700만~1800만원, 광교 1500만원, 마곡지구 1300만~1400만원, 미사지구 1300만원, 다산진건지구 1100만원 정도로 예상된다.

 공공택지 아파트는 분양권 전매제한에 주의해야 한다. 최초 청약 물량의 계약 후 전매제한 기간이 지방에선 1년이고 서울·수도권에선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지구 여부, 주변 시세 대비 분양가 수준, 민영주택·공공주택 등에 따라 1~6년이다. 그린벨트 해제 지구 내에서 주변 시세의 70% 미만의 가격으로 분양되는 전용 85㎡ 이하의 전매제한 기간이 가장 길다. 그린벨트 해제 지구 내 전용 85㎡ 이하의 공공주택에는 분양가 수준에 따라 최고 3년의 입주 후 거주의무도 따른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웃돈이 많이 붙으면서 분양권 전매차익을 노린 묻지마 청약의 우려가 있는데 웃돈에 거품이 끼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