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 경제 저력 드러나 ??서산업 눈부신 성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 70년대 이후 미국의 산업 구조는 서서히 재편되어 왔다.
철강·섬유·자동차 등 과거 미국산업을 이끌어왔던 업종들이 쇠락의 길로 접어든 반면 에너지·우주·항공·전자·정밀화학 등 첨단기술 산업이 새로 꽃을 피웠다.
이제 미국 사회는 70년대의 진통 과정을 겪으면서 서서히 자신감을 되찾아 가고 있다.
베트남 전쟁의 악몽에서 벗어난 정치적·심리적 자신감의 회복, 수차례의 오일쇼크 이후 대체 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절약을 통해 얻은 에너지 자급에의 자신감, 일본 등의 도전에 대한 기업 경영자 스스로의 자신감 회복이 그것이다.
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와 이로 인한 장기불황의 늪을 헤쳐나가는데 있어 첨단 기술산업은 놀라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지난 70년에서 80년에 이르는 동안 미국의 전 산업 실질 성장률은 연평균 3%선에 머물었다. 그러나 첨단산업 부분은 7%의 놀라운 성장을 거듭했고 또 전산업 평균 인플레율이 연평균 7%인데 비해 첨단 산업분야는 2·5%의 안정세를 유지해왔다.
철강·기계·자동차 등 미국 산업을 이끌어온 주력 업종의 수출부진으로 지난 80년 미국의 무역적자는 2백42억 달러에 이르렀으나 첨단산업 분야만큼은 무려 3백5억 달러의 흑자를 나타내는 등 미국 사회 전반에 큰 기여를 했다.
또 고용 증가율로 볼 때도 미국의 전산업 고용 증가율은 70년대 중 연평균 2·2%정도였으나 첨단산업은 관련산업에 끼친 고용 창출효과를 계산할 때 해마다 3·4%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왔다.
첨단산업을 부문별로 보면 컴퓨터 및 사무용 기기가 77∼80년 사이에 연평균 24%의 놀라운 신장율을 나타냈고 광학기기 22%, 전자부품 18%, 통신기기 14%, 항공기 11%, 우주·미사일 기기 6%, 계측제어 기기 9% 등 타 산업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이에 비해 인건비 상승. 생산성 저하 등으로 국제 경쟁력이 떨어진 철강·의류 등의 수입의존도는 크게 늘어났다.
지난 73년부터 80년 사이의 수입 의존도의 변화를 보면 의류는 7·4→12·9%, 피혁제품 17→27·4%, 자동차 등 수송기기는 9·7→14·l%, 철강 등 1차 금속은 8·2→13·7%로 각각 늘어났다.
더우기 쇠퇴기에 들어선 산업이 주로 동·북부에 몰려있는데 비해 첨단산업은 서·남부로 집중됨에 따라 전통적인 북부중심의 경제 지도가 일변해 버렸다.
지난 70년대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각광을 받은 서·남부의 실질성장률이 연평균 4·5%에 달한 반면 북·동부는 2·0%에 머물러 지난 80년에 이르러서는 전통적인 북고남저 현상이 완전히 역전돼버렸고 이같은 경향은 더욱 가속될 전망이다.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이 갖고 있는 힘든 그 폭과 깊이에 있어 막강한 힘을 과시하고 있다. 에너지 및 우주·항공분야에서는 단연 독보적이며 최근 일본의 강한 도전을 받고있는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도 가전 등 일부분야를 제외하고는 컴퓨터에서 압도적인 감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이 우위에 설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IBM을 핵으로 하는 미국의 컴퓨터산업은 세계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막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어 당분간 그 위치가 흔들릴 것 같지 않다. 이같은 컴퓨터 분야의 우세로 앞으로 정보·통신사업의 주류가 될 C&C(컴퓨터와 통신을 종합한 정보 시스팀)분야에서도 AT&T등 과의 제휴에 의해 주도권을 장악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산업에 있어서 기술개발산업 못지 않게 중요한 또 다른 변화는 에너지 자급의 가능성과 기업과 노동조합의 관계 개선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의 에너지 수요는 지난79년 하루3천7백30만 배럴(석유환산)에서 8l년에는 3천4백90만 배럴로 감소했다. 석탄 등 대체 에너지개발, 성 에너지 등으로 미국의 석유수입은 81년에는 전체 에너지수요의 15%로 낮아졌고 특히 중동에 대한 의존도는 3%에 불과하게돼 장기적으로 정치적 변수에 좌우되지 않는 에너지 정책을 펴나갈 수 있게 됐다.
노조와의 관계 개선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노조 스스로도 인건비 상승보다는 안정된 고용을 원하게 됐고 노동생산성도 크게 향상되는 등 불황을 탈피하기 위한 고용주와 노동자의 연대의식이 어느 때보다 강해지고 있다. <박태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