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합동 영결식…43명 중 26명 유가족 참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앞으로 다시는 이같은 불행한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 주십시오"

세월호 사고로 숨진 일반인 희생자들에 대한 합동 영결식이 27일 오전 인천시청 앞 미래광장에서 엄수됐다. 유가족들은 고인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며 정부에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사고 발생 256일 만에 열린 이날 영결식에는 정홍원 국무총리와 정부 관계자 등 450여명이 참석했다. 고인에 대한 묵념을 시작으로 행정자치부 장관 조사, 유가족 대표 추도사에 이어 참석자의 헌화·분향 순으로 진행됐다.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은 조사를 통해 "고인들의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명교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 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추도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는 정부의 안일한 대응과 현장의 우유부단한 행동, 민간여객선의 무책임함이 그대로 민낯처럼 드러난 슬픔 자화상"이라며 "사람이 중심이 되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달라"고 정부에 당부했다. 정 총리와 국회의원, 정부 관계자 등은 헌화·분향을 한 뒤 유가족들을 향해 90도로 고개를 숙여 인사했다.

이날 영결식은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이제는 슬픔을 딛고 일상으로 돌아가야할때다. 합동영결식을 연내 거행해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일반인 희생자 43명 중 26명의 유가족만 영결식에 참석했다. 일부 유가족들이 "진상규명 없는 영결식을 원하지 않는다"며 참석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 대책위원회는 "합동영결식은 총회에서 결정된 사안"이라며 "진상조사 규명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데 기약없는 시간에 매달려 대한민국이 세월호 암초에 걸려 상호 비방과 대립, 비통함에 사로잡혀 지낼 수는 없다"고 밝혔다.

한편 영결식 후 희생자들의 영정은 모두 인천가족공원 만월당으로 옮겨졌다. 지상 2층 규모로 건설되는 희생자 추모관이 추후 완공되면 그 안으로 옮겨져 보전된다. 인천시청 앞 합동분향소는 이날부터 철거된다.

인천=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