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2·8전당대회 불출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정치민주연합 정세균 의원이 26일 내년 2·8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 요구와 당원동지 여러분의 열망에 부응하고자 2·8 전대 대표 경선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우리 당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혁명적 수준의 혁신과 통합에 도움이 된다면 당의 문지기라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며 "새정치연합의 혁명과 승리를 위해 작은 밀알이 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당이 어려울 때마다 제게 세 번이나 당대표 임무를 부여한 것도 그러한 저의 확고한 정치적 신념 때문이라고 자부하고 있다"며 "이번에 당대표 도전을 마음먹었던 이유도 역사적 퇴행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정치와 분열과 갈등의 위기에 직면한 우리 당을 구하는 것이 제 정치의 마지막 임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과 당원들은 전대혁명을 통해 총선과 대선을 이기자는 열망이었다. 저의 신념을 지키고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저는 정권교체의 길에 밀알이 되기로 결심했다"며 "이제 저는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해 분열이라는 악마와 싸우고 좌절이라는 유령과 맞붙고 과거의 환상을 부수는데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이로써 당대표 경쟁구도는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의원의 '빅 3' 에서 박지원 문재인 의원의 양강 대결로 재편됐다.

정 의원은 박지원, 문재인 의원의 출마에 대해선 "다시 분열하고 갈등하고 편 가르기 하는 전대가 돼서는 안 된다. 통합과 희망, 미래로 나아가는 전대가 돼야 한다"며 "그 분들이 원래 다 중진, 무게있는 정치인들이시기 때문에 그 분들에 대해서는 자신들이 판단하실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조심스러워했다.

정 의원의 불출마 결심에는 성명파 30인의 빅 3 동반불출마 요구가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서 "국민적 관점에서 볼 때 세 사람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모습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그 분들의 주장이 상당히 일리가 있다고 보고 마음을 비우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특정후보 지지 여부에 대해선 "그런 계획은 없다"며 "새로운 후보가 등장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제 역할은 일단 끝난 게 아닌가 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친노계와 강경파를 아우르는 범친노계로 분류된다. 이번 사퇴로 문 의원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하지만 비노진영과 호남 구주류가 결집해 박지원 의원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란 분석도 있다. 비노진영의 대안으로 거론돼온 김부겸 전 의원도 이날 오후 불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중앙일보
[영상=김세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