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고추」와 「구두 수선」은 각각 빼어난 작품들이다. 「고추」의 경우, 발휘된 상상력이 남다를 뿐 아니라 동원된 어휘가 다 생동감이 넘친다. 이 각자의 특유한 연상감각이 이만한 수준을 보여 주도록 한 원동력이 되었으리라. 반면 「구두 수선」은 절실한 삶의표현으로 크게 값칠만하다. 주제의식이 뚜렷하면서 그 전개를 위해 끌어들인 비유는 모두 확고하다. 두 작품의 작가들은 이제 이쯤에서 졸업했으면 좋겠다.
「들녁에서」- 미묘한 음영을 가슴에 지니고 사는 듯한 작자의 시상을 감지할수 있다. 종장의 경우, 매우 그럴듯한 설득력을 지닌다.
「맷돌」-아직도 이처럼 표현될만한 정감이 이 나라의 시골 어딘가에 숨쉬고 있음을 파악토록 한다. 물론 작자의 재치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새」-짙은 감상이 서려있는 시조다. 시조의 구조도 터득한 것같다. 좀더 진지할 필요가 있다. 보다 감상에서 탈피하여 독창성을 발휘하라는 얘기다. 그렇게 하자면 생각을 가다듬되 비유로 구사하는 솜씨를 길러야 한다.
「간밤 꿈」-고향을 떠나 사는 마음이 얼마나 절실했으면 한마리의 새가 되어 꿈길속에서나마 날아가 자기가 자란 옛집이며 갈대밭길이며 미류나무등을 확인하였을까. 여기에 시를 쓰는 l차적인 이미지의 움직임이 있다 하더라도 이작자는 이 1차적인 움직임의 폭을 보다 드넓혀야 하고 깊이를 지녀야 할것같다.
「아침 설경」-깨끗한 서정감을 신선하게 펼치고자 애쓴 작품이다. 섬세한 감각은 살만하지만 더욱 내면의 세계를 보여주는 일이 되도록 해야겠다.
투고하는 사람들에게 당부하고자 하는 것은 시조의 율격과 리듬 관계를 잘 인식하여 달라는 문제다.
글자의 숫자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말이 자연스럽게 흐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조의 기본구조를 음수로 잡는다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본의 일이지 활용하는 묘미를 막는다는 엄격한 규제문제는 아니다. 우리말의 요건상 그렇게 엄격하게 지켜지도록 되어있는것도 아니기 때문이며, 리듬의 일은 오히려 약간의 과정이 곁들여짐으로써 미묘한 분위기를 자아내게된다 하더라도 지나친 파격만을 일삼을 수는 없다. 자유시가 정형성을 떠나 달리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늘 염두에 두면서 시조의 리듬을 새롭게 해야한다는것 때문이다.
서 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