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국민총소득 증가율 0% 의미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국은행이 2일 내놓은 국민총소득(GNI) 지표는 한국 경제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대부분의 국민이 이미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경기의 침체상을 경제의 총량 지표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시켜 준 것이다.

경제가 자꾸 나빠지는데도 정부와 청와대는 "3~4%대의 성장을 유지하는 것도 괜찮은 성적 아니냐. 너무 비관론에 빠질 필요는 없다"고 강변해 왔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03년 3.1%를 기록했고 올해는 3.8%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는 "과거 1970~80년대 압축성장을 한 만큼 이제는 안정된 성장 기조를 받아들여야 하며 이는 선진국형 경제 체질로 가는 모습일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국민은 3%대나마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 점을 전혀 실감할 수 없다고 하소연해 왔다. 결과는 국민의 느낌이 옳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가 계속 가라앉은 결과 올 2분기에 이르러 국민이 손에 쥔 실질소득은 1년 전과 비교해 전혀 늘어난 게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올 2분기 GNI는 166조145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4억원 줄었다.

무엇보다 교역 조건이 나빠진 게 가장 큰 이유라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우리 경제주체들이 사들여 오는 원유 등 원자재값은 계속 올라가고 있다. 원유 도입원가는 1년 전보다 48%나 급등했다. 하지만 원자재를 들여와 열심히 물건을 만들어 봐야 수출 제품 가격은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제품은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이 같은 교역조건 악화 때문에 생긴 실질무역 손실액이 2분기에 10조원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GDP 성장률이 다소 올라가겠지만 유가 오름세가 예사롭지 않아 하반기에는 실질 GNI가 자칫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 GNI=GDP에서 교역 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 손익과 해외로 지급되는 배당금.이자를 뺀 것으로 국가경제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뒤 실제 손에 쥘 수 있는 소득을 나타낸다.

김동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