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문유석 판사의 일상有感

쓸데없음의 가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문유석
인천지법 부장판사

올봄, 서울대 인문대학원에서 야간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중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에 관한 시간. 교수님이 처음에는 정해진 자료에 따라 강의하다가 점점 관련 연구 이야기를 신나게 하기 시작했다. 당시 인도에 간 구법승이 혜초 외에도 많았는데 그들이 얼마나 살아서 돌아왔는지가 궁금해졌단다. 그래서 온갖 고문헌을 추적해 구법승들의 생환율을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눈을 반짝반짝 빛내며 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교수님을 보며 든 두 가지 생각. ‘아, 아름답다.’ 그리고 ‘아, 그런데 쓸데없다.’ 깨달음의 순간이었다. 인문학의 아름다움은 이 무용(無用)함에 있는 것이 아닐까. 꼭 어디 써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냥 궁금하니까 그걸 밝히기 위해 평생을 바칠 수도 있는 거다. 물론 구법승 생환율을 토대로 당시의 풍토, 지리, 정세에 관한 연구를 할 수도 있겠지. 그런데 꼭 그런 용도로 연구를 시작하신 것 같진 않았기에 든 생각이다. 실용성의 강박 없이 순수한 지적 호기심만으로 열정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학문의 기본 아닐까. 그 결과물이 활용되는 것은 우연한 부산물일 뿐이고. 수학자들은 그 자체로는 어디에 쓸 일 없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350여 년간 몰두했다. 그 시행착오의 과정에서 많은 수학이론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인문학적 경영’ 운운하며 문사철 공부하면 스티브 잡스처럼 떼돈 벌 길이 열리지 않을까 기대하는 CEO들께는 죄송하지만, 잡스는 나중에 뭘 하려고 리드 대학에 가서 인문학 공부를 한 것이 아니다. 그는 그저 히피, 외톨이, 괴짜들과 어울려 쓸데없이 놀다가 한 학기 만에 중퇴한 후 예쁜 글씨 쓰기에 매료되어 캘리그라피 강좌를 청강했다. 매킨토시의 아름다운 서체는 여기서 나왔다. 쓸데없이 노는 시간의 축적이 뒤늦게 화학작용을 일으키곤 하는 것이다.

 현재 쓸모 있어 보이는 몇 가지에만 올인하는 강박증이야말로 진정 쓸데없는 짓이다. 세상에는 정말로 다양한 것이 필요하고 미래에 무엇이 어떻게 쓸모 있을지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리고 무엇이든 그게 진짜로 재미있어서 하는 사람을 당할 도리가 없다.

 물론 슬프게도 지금 몰두하고 있는 모든 것이 언젠가 쓸모 있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 또한 실용성의 강박에서 벗어나지 못한 로또 긁는 소리다. 하지만 최소한 그 일을 하는 동안 즐겁고 행복했다면 이 불확실한 삶에서 한 가지 확실하게 쓸모 있는 일을 이미 한 것 아닐까.

문유석 인천지법 부장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