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액 줄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앞으로 국민연금 가입자들이 받는 연금수령액(소득대체율)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60%에서 50%로 낮아지고, 현재 소득의 6~9%씩 내는 연금 보험료는 15.85%로 높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보다 더 내고 적게 받는 구조로 바뀐다는 얘기다. 그러나 현재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이들은 변동 없이 소득의 60%를 받게 된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발전위원회가 이달 하순 국민연금제도 개선안을 결정할 예정이며, 발전위가 논의 중인 세가지 개선안 중 소득대체율을 50%로 낮추고 보험료율은 15.85%로 올리는 안에 위원회 다수가 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머지 두가지 안은 소득대체율을 60%로 유지하되 보험료율을 19.85% 올리는 안과, 소득대체율은 40%로 낮추되 보험료는 11.85%만 올리는 안이다.

이 관계자는 "노동계와 소비자단체는 연금수령액 수준이 유지되길 희망하고 있지만 보험료 인상 폭이 너무 크고, 기획예산처 등이 선호하는 '소득대체율 40%안'은 연금수령액이 너무 적다"며 "다수 위원이 '소득대체율 50%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현행 국민연금법에 따르면 연금 방식이 조정되더라도 지금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이들의 연금수령은 변동이 없으며, 보험료율도 2009년까지는 현행대로 유지되다가 2010년부터 조정된다"고 말했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