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지금 '파업 전야'] "노령연금 개혁 안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오스트리아가 노령연금제도의 개혁 문제로 50여년 만에 총파업에 휩싸일 위기에 처했다.

오스트리아의 유일한 노조 상급단체인 노조총연맹(OeGB) 은 "볼프강 쉬셀 총리가 추진하는 노령연금 개혁안을 저지하기 위해 경고파업에 들어간다"고 5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노총의 방침에 따라 이날 철도 노동자들이 부분 경고파업을 벌였으며, 인쇄노조가 업무를 중단해 일부 신문 발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이번 경고파업에는 공공 운수노조.교원노조.인쇄노조.보건의료노조를 비롯해 일부 주요 기업 노조가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노총은 총리가 방침을 바꾸지 않을 경우 오는 13일에는 1백40만명의 조합원이 총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민당이 오래 집권해 온 오스트리아는 그동안 노.사.정 관계가 원만했으며, 노총 차원에서 총파업이 추진되는 것은 1950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정부의 노령연금 개혁안에 대한 노조 측의 반발 강도가 그만큼 세다는 의미다.

쉬셀 총리는 연금기금의 재정 악화를 이유로 노령연금을 정식으로 받을 수 있는 최소 연령을 현행 60세에서 67세로, 연금보험료 납부기간(최소 근로기간)을 40년에서 45년으로 상향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혁안을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개혁안은 특히 공무원.철도부문.민간업체별로 다르게 운영돼온 연금제도를 하나로 통일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개혁안이 시행될 경우 지금까지 공무원과 철도 노동자 등에게 주어졌던 특혜가 없어지게 된다.

베를린=유재식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