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계 편싸움 방치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전교조는 이번 주에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시행 중단을 요구하며 단식농성과 연가(年暇) 찬반투표를 시작한다. 이에 맞서 전국교장단협의회는 주말에 장외집회를 열어 전교조의 반성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처럼 전교조와 교장단의 이전투구(泥田鬪狗)로 대혼란이 예상되는데도 정작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할 정부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정부가 교육계의 충돌과 갈등을 방치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전교조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이 신상정보 유출로 인해 학생의 인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제 있는 부분은 입력자료에서 제외돼 전교조 주장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그런데도 전교조가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무력화를 시도하는 것은 교육현장의 주도권 싸움에서 밀리지 않겠다고 집착하기 때문이란 것이다.

학생 지도에 전념해야 할 교사들이 학교를 버리고 거리로 뛰쳐나오면 수업 결손으로 인해 결국은 애꿎은 학생들만 피해자가 되지 않겠는가. 전교조는 투쟁일변도 노선에서 벗어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교장단의 집단행동은 전교조에 경종을 울리는 한편 교육현장의 황폐화를 막겠다는 명분이다. 그러나 학교의 어른인 교장들까지 집회를 통해 세를 과시한다면 국민만 불안케 할 뿐이다.

이 시점에서 교장단이 먼저 해야 할 일은 아무리 어렵더라도 학생들을 사랑으로 감싸고 교사들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게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자면 권위주의적인 자세보다는 민주적 몸가짐을 가져야 한다.

정부는 사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교육부가 전교조의 반전교육이 문제가 있는 것처럼 하다가 슬며시 넘어간 것도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기업체 노조가 아닌 전교조에 친노조정책으로 접근하는 것은 교육을 모르는 위험한 인식이라는 것이다. 교육부장관이 소극적으로 교장.교사.교직단체.학부모에게 호소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교육이 흔들리면 우리의 미래는 암담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