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남북 "군 우발 충돌 막자" 공감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 20일 오전 판문점 남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열린 제3차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을 위한 실무대표회담에 앞서 국방부 대북정책과 문상균 중령(左)이 북측 군사회담 관계자와 시계를 보며 일정을 협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 20일 군사실무회담에서 합의한 통신연락소는 냉냉한 남북간 군당국 관계를 녹이게 될 큰 걸음이다. 통신연락소는 서해상에서 남북 해군이 우발적으로 충돌하는 사태를 예방하는 것을 1차 목표로 한다. 그러나 기능이 육군과 공군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돼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방부 관계자는 "통신연락소는 남북한 군 당국을 연결하는 군사상황실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군사적 신뢰구축이 쌓이면 합동참모본부 또는 국방부 수준의 직통선(핫라인)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말했다. 통신연락소를 통해 해군은 물론, 육군과 공군도 연결이 가능하다.

즉각적인 효과도 있다. 통신연락소로 북한 경비정의 '답신 불응'을 막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해 NLL에 접근하는 북한 경비정은 국제상선통신망을 통한 우리측의 무선 경고에 응답치 않는 경우가 많다. 해상 상태나 북한 경비정의 노후한 무선장비 때문에 통신이 안되는 상황도 있던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한다. 그러나 지상 통신망이 개통되면 남북 해군은 보다 분명하게 의사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연락소는 북한에선 개성 지역에, 남한에선 경의선 도라산역 출입관리시설(CIQ)에 있는 군상황실에 만들어질 전망이다.국방부 신현돈 홍보관리관은 "통신연락소가 설치될 경의선 군상황실에 근무인원을 늘려 24시간 운영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신 연락소는 지난해 6월 2차 남북 장성급 회담에 합의됐으면서도 미이행 상태였다. 군사분계선 지역의 선전물 철거도 남북간 이견이 없어 쉽게 합의됐다. 그러나 3차 장성급 회담 일정은 잡지 못했다. 북측은 백두산의 삼지연 도로 공사를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일각에선 북측이 26일 시작되는 베이징의 6자회담을 의식, 장성급 회담을 뒤로 미룬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판문점=공동취재단,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