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상회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해는 서울과 워싱턴간에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다짐하는 덕담들이 풍성하게 교환되었다. 한미수교 1백주년 행사의 일환으로 미국에서는 「부시」부통령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했고, 한국 측에서도 지도급 인사들이 미국을 친선 방문하여 두 나라의 우호 무드는 가위 절정에 이른 듯 싶다.
이범석 외무장관의 방미도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의외라거나 전례 없을 만큼의 기대를 모으는 것은 아니라고 하겠다. 한국에서 새사람이 외무장관이 되면 미 국무 장관하고는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만나서 얼굴을 익히고 양쪽의 기본입장을 확인하는 「의식」을 갖는 게 보통이다.
더군다나 「헤이그」장관은 원래 수교 1백주년을 계기 삼아 한국을 방문하기로 작정되었다가 포클랜드 전쟁으로 유산된 것을 생각하면 오는 29일의 한, 미 외상회담은 논리적이고 시기 적절한 것이다.
이번 워싱턴회담에서는 동북아시아안보현황이 검토되고 미국의 대한군사차관의 증액과 조건개선, 그리고 한, 일 경협 교섭에 미국이 맡을 수 있는 역할 따위가 토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의 큰 변화를 고려한다면 이번 한미외상회담은 눈앞의 현안문제들과 올해의 각별한 우호무드를 뛰어넘는, 한-미 관계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프랑스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지만 서구 한 지역만을 보아도 북한을 승인하려는 움직임이 사회당세의 상승기류를 타고 있다. 이런 현상은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거나 멀지 않 아 그렇게 되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같은 얘기는 한국과 동구권, 한국과 비동맹 권에도 해당된다.
결국 이런 추세는 4강에 의한 남북한의 교차승인과 그 뒤에 오는 한반도의 긴장완화, 남북화해로 수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런 사태의 전개에 대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한-미간의 의견 조정이라고 하겠다.
얼핏 생각하기에 한반도의 긴장완화를 가져오는 사태나 절차에 한-미간 이해의 충돌이나 견해차가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상식적인 얘기로 미국이 한국과 방위공약을 맺고 있는 것은 한국에 대한 시혜가 아니라 미국자신의 전략적인 이해 때문이다.
이런 점을 전제로 한다면 이제는 우리도 교차승인이나 남북대화에 대한미국의 입장이라는 것이 과연 지난30여 년 동안 당연히 그러려니 하고 여겨온 그런 성질의 것인지 한번쯤 의문을 제기해 볼만도 한 것이다.
미국에 대해서 한국의 전략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한반도의 현상동결에 대한 미국과 다른 주변국가들의 입장은 무엇인가 라는 근본문제를 따져보는 장기적인 안목이 당장의 군사차관 몇억 달러 더 받아 내는 것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까.
미국의 대한지원은 당연한 것이거나 항구불변의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렇다할 장기적인 비전 없이 대미관계를 지켜왔고 한-미 관계의 척도는 언제나 원조액수였던 것이다.
이런 근시적인 자세는 국제환경이 이상 더 용납하지 않는다. 전두환 대통령의 아프리카순방도 이런 맥락에서 보면 우리외교의 다변화, 외교적인 독자노선의 폭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유엔이나 비동맹회의에서 한국관계결의안에 던져지는 표가 많고 적은데 우리가 일희일비하고 북한을 승인하는 우리의 우방이 한 두 나라 늘어나는 것을 한국외교의 큰 재난이기나한 것처럼 흥분하면 시대는 막을 내리고있다.
새시대의 외교는 의연한 자세로 분단상황의 개선을 위한 비전을 가지고 추진 할 수 우리만큼의 국력과 국제적 지위는 강화되었다고 본다.
워싱턴외상회담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재검토해 보고, 미국의 옷자락에 매달리는 외교자세를 청산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는 것이 국제적인 환경의 요구인 것 같다.
우리도 미국을「가슴」(heart)으로가 아니라 「머리」(head)로 대할 때가 온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