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기업공개 1년 … 주가 55% 올랐지만 손실도 2.7배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2013년 11월 6일. 미국 뉴욕 증시에 촉망받는 신예가 입성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대표 기업인 트위터다. 공모가 26달러로 출발한 트위터의 주가는 다음날 44.9달러로 치솟았다. 상장 50여 일 만에 사상 최고가인 73.31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6일(현지시간) 기업공개(IPO) 1주년을 맞는 트위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주가만 따지면 성적표는 나쁘지 않다. 트위터는 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40.3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공모가에 비해 55% 올랐다. 페이스북이나 징가·그루폰 등 다른 정보기술(IT) 업체의 주가가 상장 뒤 1년 동안 공모가를 밑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선방이다.

 그럼에도 투자자의 의구심은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수익모델의 부재다. 월간 이용자 수 증가세가 둔화하며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2분기에 사용자 수는 1600만 명 늘었지만 3분기에는 1300만 명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버는 돈보다 까먹는 돈이 많아지는 것도 부담이다. 3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4% 늘어난 3억6100만 달러였다. 반면 손실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7배 늘어난 1억7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각종 연구개발비와 마케팅비용이 늘어난 탓이다. 그 결과 올해에만 주가가 36% 떨어졌다. IPO 당시 2015년부터 흑자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은 2017년으로 미뤄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트위터는 벤처캐피털 자금을 받아 상장한 기업의 거품이 크게 빠질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IPO 컨설팅업체인 클래스브이그룹의 리제 바이어 대표는 “손에 잡히는 비즈니스 수익기반을 갖추기 전까지 주가는 계속 출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