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관리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세균성 이질 원인균이 지하수에서 발견된 것과 관련, 약수터·지하수 등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주시 동서학동 치명자산 성지순례원의 지하수 물을 검사한 결과 세균성 이질균인 ‘시넬라 소니’가 발견돼 지난 21일 중학생 이모(14)군이 첫 감염된 이후 전북도 내에서 발생한 20명의 이질환자들은 이 균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전북도 내에 이같은 지하수 시설이 무려 15만여개나 되는 데다 이 가운데 허가(85곳)나 신고(1만8천여곳) 대상을 제외한 13만여개는 경미시설로 분류돼 수질검사를 받지 않고 있어 추가 감염자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지하수법에 따르면 한달 채취량이 1백t 이상인 곳은 허가, 30∼1백t은 신고 대상이며, 30t 미만은 등록만 하도록 돼 있다. 일부는 아예 등록조차 안돼 있는 곳조차 있다.

실제 전주시 관계자는 치명자산 지하수가 있는지조차 몰랐다고 실토할 정도다.

전주 시내만 해도 종교시설이나 공원·아파트 단지 등지에 50여개의 지하수 시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리를 받고 있는 곳은 좁은목·선린사·완산칠봉·학수암 등 4곳에 불과하다.

전북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올들어 잦은 비 때문에 물이 많이 흘러 들어 지하수·약수터 할 것 없이 오염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며 “수질에 대한 지자체의 관리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