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핵 대비 미사일 방어 체계 갖춰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북한이 핵무기를 실전 배치하면 미국은 한반도에 대한 핵무기 배치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전략문제연구소(소장 홍성태)가 26일 서울 캐피탈호텔에서 개최한 '격변기 동북아 4강의 신 군사전략과 한국 안보' 국제 심포지엄에서 미국 헤리티지재단 래리 워첼 박사가 이같이 말했다.

워첼 박사는 '부시 2기의 안보전략-한반도 군사전략 전망'이라는 발표에서 "부시 정부는 북한이 실제로 핵 미사일을 배치하는 문제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미국은 함정과 항공기에 배치된 핵무기를 제거하는 문제를 재고하고 (핵무기 배치를)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NCND) 정책을 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첼 박사는 압도적인 핵 및 재래식 전력을 보유한 한.미 동맹이 있는 한 북한을 억제할 수 있고, 일본도 미국의 핵우산이 있으므로 핵 보유국이 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북한 핵문제는 유엔에 상정돼야 하고, 북한 핵 탄도미사일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일본 게이오대학의 짐보 켄 교수는 "북한이 핵실험을 하면 중대한 전환점을 맞게 될 것"이라며 "그럴 경우 일본은 지난 1월 발효한 대북 송금 및 북한산 물품 수입 금지조치를 시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그는 일본이 미국 등과 함께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의 불법 이전을 차단하기 위한 확산방지구상(PSI) 훈련을 동해 등에서 실시한 사례를 들며 PSI 구상이 북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의 유지아오양 개혁포럼 위원은 "북핵 문제를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 외에는 방도가 없다"면서도 "일단 합의되면 가능한 빨리 실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