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가 신학교정비 계속 난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당국과 기독교계가 날카롭게 맞서고 있는 무인가신학교 정비문제는 수습의 실마리를 찾치 못한채 각 교단내부에까지 크게 소용돌이 치고있다.
감리교는 지난주 교단 안의 7개 무인가신학교 대책을 협의, 당국에 모두 인가신청을 내기로 했다.
이 같은 방침은 본래 정규인가를 받은 서울 감신대와 대전 목원대 외에 무인가신학교를 2-3개로 통합, 인가 신청하려던 당초계획을 백지화한 것으로 크게 주목된다.
19개 정통교단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계가 요망하는 무인가신학교 정비방안은 ▲정통교단인준 신학교의 선 예비인가 및 81학년도 신입생모집허가 ▲「대학설치기준령」에 준하는 시설을 완화해줄 것 등으로 요약되고 있다.
기독교계는 당국이 밝힌 66개의 교단인준 신학교에 대해서는 시설보완계획서만을 받고 예비인가를 해준 뒤 일정한 보완기간(1∼2년)이 지난 뒤 심사를 거쳐 정식인가여부를 결정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일괄적인 신입생 모집의 중지는 선악과의 판정을 일찍 내려 폐쇄와 인가조치를 분명히 했어야할 당국의 결정이 지연된 데서 발생한 모순이며 장차 인가될 학교의 유속성과 운영문제, 목회자의 수급계획 등을 감안할 때 전혀 수긍할 수 없는 처사라는 것-.
시설보완도 교세가 약한 정통교단의 경우 성직자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에 문교당국이 요구하는 「대학설비기준령」의 70%를 해야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
따라서 교단의 신도 수 등에 비례하는 소규모의 신학교도 인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