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외국간행물의 수입규제 대폭 완화로-구독가능 신문·잡지 부쩍 늘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신규허가 억제와 배포 부수 제한으로 묶어 두었던 외국정기 간행물이 정치해빙에 때 맞춰 대폭 완화돼 문화정책에도 봄기운이 완연하다. 지난 14일 업계에 따르면 종래 무조건 기피되던 시사지나 불요불급의 취미잡지 등이 신규로 허가되어 누구나 구독할 수 있게끔 바뀐 것이다. 또 허가 부수도 업자의 요청을 거의 그대로 반영해 기존 수입간해물의 숫자도 대폭 늘어났다.
신구허가를 가장 많이 따낸 한국출판판매(대표 여승구)의 경우 신문·잡지·연감을 포함해 지난해 5백20종이었던 것이 금년에는 또 종이 늘어나 5백45종으로 취급 외국간행물이 많아진 것이다. 특히 언론기관이나 특정연구단체 이외에는 볼 수 없었던 불·독·비등의 유명일간지가 들어오게 된 것은 특기할만한 사실. 「프랑스」의 권위 중립지로 유명한 「르·뭉드」「르·피가로」지를 비롯, 독일의 「디·벨트」 「프랑크푸르터·알게 마이네」 「디·차이트」일반구독이 가능하게 됐으며 미국의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지는 새로 허가가 나왔다.
이 밖에도 신규허가가 나온 신문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노이에·취리히·차이퉁」과「홍콩」에서 발간하는「사우드·차이나·모닝·포스트」낀다. 이들 신문의 수입허가 부수는 대부분 50부 정도지만 일반의「해외에 대한 갈증」을 어느 정도 충족시킬 만하다.
수입문호가 개방된 연감으로는 지난해 지국개설이 재개된「요미우리」(독매)신문의 「독매년감」을 우선 꼽을 수 있다.
북괴에 대한 찬양기사로 지국이 폐쇄되면서 구독이 금지되었던 이 연감은 정치해빙의 혜택을 입은 두드러진 「케이스」.
연감으로는 일본의「세계년감」이 종래 40부에서 1백부로 늘어났고 「세논조사년감」「외국회사연일」 「세계컴퓨터연일」「자원 에너지 연일」 「일본 복지연감」「아프리카연감」 「국제 노동경제통계년감」 「국련아프리카경제요람」이 신규허가 되었다.
또 새로 선을 보일 잡지는 영국의「미들·이스트이커·노믹·다이케스트」(중동경제)와 미국의 출판전문지「북·다이제스트」.
31개 수입업자 중 「패션」 「스프츠」등 취미잡지의 수입권을 가장 많이 따낸 곳은 「뉴스위크」총판인 범한서적(대표 김윤선)이다. 이들 잡지를 보면「아키텍추럴·다이제스트」 「포퓰러·포트그래피」「베티·홈·앤드·가든」 「매콜즈」 「텍스타일·아시아」 「월드·테니스」 「폴리시·쿠튀르」 「콜렉시옹」 「아르·데코라시옹」「데코라시옹」「오피시엘르」 「마리프랑스」「데페시」「엘르」등. 허가된 잔행물은 모두 24종 2만2천7백50부 중 14종이나 된다.
「뉴스위크」도 1만7천부에서 2만부로 늘어났으며 「사이컬러지·투데이」등 기존 취급 간행물 10종도 20∼50부씩 증가추세.
77년까지 「뉴스위크」 「타임」을 함께 수입하던 자일문화사(UPA·대표 신창호)의 경우 신규허가는 「아시안·메디컬·뉴스」라는 의학전문지 밖에 없으나 과학지「사이언티픽·아메리컨」은 종래 3백부에서 1천부로 수입 부수를 대폭 늘린 게 특징이다. 산업화에 따라 이공계전문잡지를 조금씩 늘려왔으나 이번 「케이스」는 이례적인 일.
수입허가 33종 6만8천2백부로 가장 알찬 수입실적을 올리고 있는 이 회사는 「타임」「리더즈·다이제스트」가 역시 대종물 이룬다. 특히「타임」의 경우는 2만5천에서 3만으로 5천부나 늘렸고「리더즈·다이제스트」는 2만4천으로 4천부를 늘려줬다. 여타의 잡지에 비해 이들 인기 시사지의 증가추세는 폭발적이다.
지난해까지 「불온간행물」로 낙인 찍혔던 「파-이스턴·이커노믹·리뷰」지가 10·26사태이후 지국이 개설되면서 누가 수입권을 따낼 것인가가 한때 업계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수입신청을 비밀리에 하는 업계의 풍포 때문에 한국출판판가와 자일문화사가 잡지사 측과 2증계약을 맺는 경합장을 보여 결국 누구도 허가를 얻어내지 못하는 결과로 끝났다.
어쨌든 종래 꼽꽁 얼어붙었던 외국잡지정책이 풀리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업계뿐 아니라 문학관계 인사들은 좋은 조짐으로 받아들이고있다. 종래 국가원수 모독이나 공산주의고무·찬양 등「이적」과 미풍양속을 그르친다는 「외실」, 그리고 취미·「패션」등 「불요불급」의 딱지를 붙여 제한해 온 당국의 문학정책이 오히려 대외 「이미지」를 좋지 않게 했다는 점에서 보면 정책의 변화는 바람직하다고 보는 것이다.<방인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