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권은희 후보의 수십억대 재산 누락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7·30 광주 광산을 보궐선거에 출마한 새정치민주연합 권은희 후보는 자신과 배우자의 재산이 5억8000만원이라고 선관위에 신고했다. 그런데 최근 인터넷 매체 뉴스타파는 권 후보의 남편이 상당한 지분을 보유한 부동산 회사가 수십억원대 부동산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회사는 사무실과 직원이 없으며 사실상 권 후보 남편의 개인기업과 다를 바 없다고 뉴스타파는 보도했다. 권 후보 측은 이를 부인하지 않고 있다.

 권 후보가 재산신고에서 이 부분을 뺀 것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게 선관위 해석이다. 재산신고에 활용되는 공직자윤리법은 ‘소유 명의와 관계 없이 사실상 소유하는 재산’도 신고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는 ‘사람의 재산’에 해당되지 ‘법인의 재산’엔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논란이 되는 부동산은 법인의 재산이지 권 후보 남편의 개인재산이 아니므로 재산신고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선관위에 따르면 ‘법인 재산’이 사실상 개인 재산일 경우 이를 신고하도록 하려면 법 개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법은 그렇다고 해도 양심의 문제는 다르다. 공직 출마자가 재산을 신고하도록 하는 건 재산이 후보의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유권자는 후보를 판단할 때 병역·세금·전과와 함께 재산을 비중 있게 주목한다. 고의든 실수든 중대한 누락이 발견되면 후보는 사법조치를 받게 된다. 누락은 당선무효 사유까지 될 수 있다.

 재산신고 제도의 정신을 고려하면 권 후보는 신고와 별도로 정확한 내역을 공개해야 했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수사에 외압을 가했다고 권 후보가 폭로한 사건에서 1심·2심 법원은 ‘김용판 무죄’를 선고했다. 권 후보와 새정치연합은 이 판결을 부정했다. 재산신고는 ‘법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법에 따른 판결’은 왜 부정하는가. 자신에게 유리하면 법이고 불리하면 법이 아닌가. 같은 야권인 정의당의 심상정 원내대표는 “새정치연합이 ‘법적 하자 없다’고 하는 걸 국민들이 도덕적 불감증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권 후보는 이를 새겨들어야 한다.